장규열 한동대 교수
장규열 한동대 교수

지역의 인구문제가 심각하다. 저출산고령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면서 수도권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동네에서 아이 울음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학령인구가 격감하면서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대학들이 늘어난다. 지역에서 젊은이들의 모습을 찾기가 어렵기만 하다. 대학들이 있어 청년들이 지역에 있기는 해도, 거의 모두 졸업과 함께 떠날 채비를 한다. 사회진출을 앞둔 대학생들에게 지역을 떠나는 까닭을 물으면, ‘지역에서 미래를 기약할 수 없다’거나 ‘지역에 문화기반이 부실하여 지역에 머물 재미가 없다’는 답이 돌아온다. 그들이 장래를 걸만한 비전을 찾기 어려울 뿐 아니라, 일상을 이어갈 정주여건이 부실한 터이다. 인구문제는 사람 머릿수의 문제가 아니다. 젊은이들의 마음을 묶어낼 매력을 만들어야 한다.

문화가 무엇일까. 사람에 따라 여러 생각이 가능하겠지만, 문화는 오늘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이어야 한다. 전통문화를 찾아내어 아름답게 보전하는 일이 중요한 만큼, 우리가 발딛고 사는 곳에 어떤 문화적 매력을 심을 것인지 생각을 모아야 한다. 문화는 독특하고 흥미로우며 이곳에서만 발견할 수 있는 ‘지역의 정체성’이어야 한다. 한국문화는 한국에만 있듯이, 포항문화는 포항의 정체성이어야 한다. 지역의 정체성인 문화가 외지로부터 사람들을 끌어모으고 찾아와 살고싶게 만들어야 한다. 정주여건과 연계한 문화인식이 필요한 까닭이다. 다른 지역을 흉내내어서도 안 되고 다른 지역이 따라할 수도 없어야 한다. 독특한 정체성을 확보한 지역문화는 도시브랜딩의 기초가 된다.

차별적이며 흥미진진한 지역문화를 일으키면, 우리만의 지역문화를 홍보와 마케팅에 활용하는 도시브랜딩에 적용하게 되고 사람을 당기고 청년을 머물게 하는 인구정책에 기여할 수 있다. 늘어나는 지역의 인구는 다시 다양한 문화적 저변을 발굴하고 창출하게 하고 지역의 문화적 지평을 넓히게 하여, 선순환적 문화정책과 도시정책이 가능해질 터이다. 청년들에게 지역을 왜 떠나느냐고 따져 물을 게 아니라, 지역이 먼저 전향적으로 풍요하고 재미있는 문화적 토양을 만들어야 한다. 외치지 않아도 찾아오는 도시를 만들어야 하고 붙들지 않아도 떠나지 않는 지역이 되어야 한다. 문화가 ‘정주여건’의 필수요소임을 명심해야 하며, 행복과 기쁨은 일상에서 만나는 문화의 풍성함과 흥미로움에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산업화의 결실이 사람을 당기는 외형적 유인이었다면, 문화적 풍요는 사람을 머물게 하는 매력의 열쇠인 셈이다. 문화도시로 선정되었음에 만족할 일이 아니며, 문화가 구체적으로 지역의 지속적인 발전에 어떤 역할을 할 것인지 고심해야 한다.

오래된 고전이 물론 훌륭한 문화자산이지만, 오늘 일상에서 만들고 경험하는 재미와 향기는 우리 도시만의 문화적 매력과 긍지가 된다. 산업화로 여기까지 왔다면, 문화로 새 날개를 달아야 한다. 나라와 세계가 주목하는 도시브랜딩을 문화를 테마로 시도해야 한다. 글로벌시티로 다시 태어나는 포항이 되어야 한다. 문화를 살리면 도시가 깨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