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동궁과 월지 출토 ‘신라 화조도’ 유물 공개
“현대 장인도 못 만드는 불가사의한 작품” 찬사

16일 공개된 ‘선각단화쌍조문금박’. /연합뉴스

종이처럼 얇게 편 손가락 두 마디 크기 금박에 머리카락 굵기의 절반 정도 되는 매우 가느다란 선을 무수히 그어 새 한 쌍과 만개한 꽃들을 표현한 정교하고 섬세한 신라 유물이 공개됐다.

육안으로는 거의 식별이 불가능해 현미경을 이용해야만 문양을 살필 수 있는 이유물은 현대 장인도 쉽게 제작할 수 없는 불가사의한 작품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문양에는 서역과 교류 흔적이 있어 금속공예는 물론 회화사와 문화사 측면에서도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16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언론 공개회를 열어 2016년 11월 경주 동궁과 월지에서 발견한 8세기 신라 ‘화조도’(花鳥圖) 금박 유물을 선보였다.

실제로 금박 유물을 살펴보니 문양은 거의 보이지 않았다. 100원짜리 동전 크기와 비슷한 유물에는 생채기 같은 선들만 언뜻 비쳤다.문양은 10∼50배로 확대할 수있는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비로소 또렷하게 드러났다.

2점으로 구성된 유물 출토 지점은 동궁과 월지 ‘나’지구 북편이다. 한 점은 건물터와 담장터 사이에서 모습을 드러냈고, 다른 한 점은 회랑 건물터에서 확인됐다.

두 지점 사이 거리는 약 20m이며, 유물들은 발견 당시 원래 형체를 알기 어려울 정도로 구겨진 상태였다.

어창선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관은 “처음 수습했을 때는 팥알처럼 작고 진흙이 묻어 있어서 문양을 인지하지 못했다”며 “보존처리를 통해 두 유물이 하나의 개체라는 사실을 알아냈고, 다양한 연구 작업을 거쳐 성과를 발표하게 됐다”고 말했다.

금박 유물은 가로 3.6㎝, 세로 1.17㎝, 두께 0.04㎜다. 순도 99.99%의 순금 0.3g이 사용됐다. 그림을 그린 선 두께는 머리카락 굵기인 0.08㎜보다 얇은 0.05㎜ 이하로 조사됐다. 이보다 미세한 그림이 있는 유물은 국내에 없다고 조사단은 강조했다.

사다리꼴 단면에 좌우 대칭으로 새 두 마리를 배치했고, 중앙부와 새 주변에는 단화(團華) 문양을 철필(鐵筆·끝부분이 철로 된 펜) 같은 도구로 빼곡하게 새겼다.

단화는 꽃을 위에서 본 듯한 문양으로, 상상의 꽃이다.

조사단은 “새 문양은 멧비둘기로 짐작된다”며 “단화는 경주 구황동 원지의 금동제 경통장식, 황룡사 서편 절터에서 출토된 금동제 봉황장식 등에도 있는 통일신라시대 장식 문양”이라고 짚었다.

조각 기법과 문양을 바탕으로 유물을 ‘선각단화쌍조문금박’(線刻團華雙鳥文金箔)으로 명명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문양에서 서역 문화가 신라화한 양상이 확인된다고 설명했다.

신라 금박 유물은 17일부터 10월 31일까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천존고에서 열리는 ‘3㎝에 담긴 금빛 화조도’ 전시를 통해 볼 수 있다. 연구소 누리집에 접속하면 온라인으로도 유물을 감상할 수 있다.

경주/황성호기자 hsh@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