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영 ​​​​​​​대구가톨릭대 교수
박상영 대구가톨릭대 교수

얼마 전, 모친 칠순 잔치를 한답시고 이것저것 준비에 한창이던 후배 하나가 갑자기 시무룩한 표정을 짓는 것이었다. 무슨 일인가 물으니, 딸은 그냥 딸인가 보다 하는 뜬금없는 소리를 하며 한숨을 내쉬는 게 아닌가. 어려서부터 아들 아들 하던 모친이, 이번 칠순 잔치에도 아들이 돈을 더 많이 쓸까 노심초사하고 오히려 딸에게는 은근히 더 했으면 하는 뉘앙스에 그만 맘이 상해 버렸다는 것이다.

옛말에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 없다는 말이 있다. 이는 자식들을 모두 골고루 사랑하는 부모의 마음을 표현한 속담이다. 그런데 한편, 더 아픈 손가락도 있고 덜 아픈 손가락도 있다며, 부모의 자식 사랑이 모두에게 똑같진 않다고 반발하는 이들도 있다. 옛날 같으면야 대를 이을 아들을 못 낳으면 소박맞기도 했고 또 아들은 출가외인인 딸과는 달리 제를 지내주기도 하고, 남편 사후 의지해야 할 대상이기도 했으니 그렇다 치더라도 요즘에는 상황이 그렇지 않은 데도, 아들 아들 하면 딸들로서는 속상할 법도 하다.

그런데 사실 부모에게는 어떤 손가락이든 중요하지 않은 손가락이 없다. 부모에게 있어 자식은 더 아프고 덜 아픈 손가락이라기보다는 각각 다른 기능을 하는 손가락일 가능성이 크다.

‘나 혹은 네가 최고’라고 하거나 반대로 아래로 내려 형편없음을 야유할 때 사용하는 엄지, 방아쇠 당기는 흉내 낼 때 혹은 남을 향해 삿대질 할 때 필요한 검지, 가장 길고 아름답게 뻗어서 손의 미학을 완성시키는 중지, 약혼 반지를 끼울 때 꼭 필요한 약지, 그리고 손가락 걸고 약속을 맹세할 때 사용되는 소지처럼 말이다.

즉 상황에 따라 이 손가락 저 손가락이 생각나는 것이지, 모든 손가락이 부모에겐 다 소중한 것이다. 모든 손가락이 소중하다면, 이를 똑같이 대하는 것은 더더욱 중요한 문제이다.

손가락이 부모에게 자식과도 같듯이, 임금에게는 신하 및 백성과도 같고, 스승에게는 제자와도 같다. 무릇 부모된 자, 임금된 자, 스승된 자들은 모든 손가락을 골고루 살피고, 그중 아픔이 있는 손가락을 특별히 더 돌보되 다른 손가락을 무시하지 않고 함께 보듬어 안는 지혜를 갖추어야 한다. 소외된 손가락이 없도록, 옛 임금들은 궁궐을 빠져나와 잠행(潛行)을 하며 시정을 살폈고, 딸이라고 차별않고 아들과 동등하게 교육을 받게 한 부친 덕에 난설헌은 당대 최고의 여류 시인이 될 수 있었으며, 10세에 겨우 글을 깨칠만큼 우둔한 아들이었건만 꾸준히 지지해 준 부친 덕에, 김득신은 조선조 유명 시인이자 독서광으로 이름을 남길 수 있었다.

바야흐로 설 연휴가 코앞이다. 항상 명절 때 단골로 나오는 뉴스 중 하나는 집안끼리의 불화, 싸움, 형네, 아우네 시시콜콜 재산 문제로 언성을 높이다가 즐거워야 할 명절이 아수라장이 되는 기삿거리다. 부디 이번 명절에는 다들 손가락들과 손가락을 생각하는 마음이 잘 조화를 이루어, 가위, 바위, 보 게임을 하거나 등이 가려워 긁을 때, 악수를 할 때나 손뼉을 칠 때처럼 하나된 마음의 ‘손’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