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종 경북대 교수
김규종 경북대 교수

우리는 문명의 이기에 의지하며 살아간다. 집 안팎에는 인간 삶을 풍요롭게 해주는 물건들이 자리한다. 그중에서 나는 가끔 전화기를 생각한다. 1980년대 초에 거금 20만원 넘게 들여서 구한 전화기가 지금까지 기억에 남아있다. 당시 사립대학 한 학기 등록금이 25만원 정도였으니, 전화기가 얼마나 비쌌는지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때 받은 전화번호는 아직 나의 비밀번호로 살아 남아있으니, 그 위력은 대단한 것이 아닐 수 없다.

늦도록 돌아오지 않는 남편과 아들들로 인해 괴로웠던 어머니가 한시름 놓을 수 있도록 배려한 전화기. 가정의 풍속도마저 바꾸어놓았던 전화기에 얽힌 일화를 누구나 하나쯤 기억하고 있을 터. 러시아의 계관시인이자 소설가, 극작가였던 알렉산드르 푸쉬킨이 1830년에 출간한 ‘벨킨 이야기’에 아픈 사연이 나온다. 순정파 처녀 마리아를 사랑한 사내 블라디미르가 도둑 결혼하려다 눈보라 때문에 사랑을 이루지 못한 이야기다.

프랑스 감상주의 소설로 교육받은 마리아와 첫눈에 사랑에 빠진 귀족 청년 블라디미르. 그는 마리아의 집에서 5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마을에 주례를 담당할 신부와 증인까지 구해놓는다. 하지만 앞을 분간할 수 없을 만큼 쏟아지는 눈보라로 결혼식에 참석하지 못한다.

소설을 읽으면서 ‘아, 전화기만 있었더라도 이런 불행은 피할 수 있었을 터인데’ 하며 구슬픈 심사를 금할 수 없었다.

200년 전에 이런 사연이 어디 러시아에서만 있었겠는가?! 예기치 않게 걸려오는 반가운 소식부터 언짢고 슬픈 이야기까지 전화는 담담하게 사연을 이야기할 따름이다. 얼마 전 아픈 전화를 받았다. 재작년에 담도암 판정을 받고 투병하면서 건강을 상당 정도로 회복한 친구에게 암이 재발했다는 소식. 듣자마자 속이 짠하고, 마음 한 자락이 무너지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전남대 교환교수로 있으면서 학교 안팎에서 아름답게 피어난 온갖 꽃과 풀을 사진으로 찍어 그에게 보내곤 했다. 다행히 2019∼20년 겨울은 포근했다. 눈 속에 빨갛게 피어난 장미 사진을 보내기도 했더랬다. 그런 마음이 통했는지, 그는 항암치료 없이 베트남에서 생산된 ‘개 구충제’만으로 2년 이상을 버텨왔다. 우리는 가까운 곳에서 기적이 실현되고 있음을 확인하면서 맑고 투명한 그의 웃음소리에 환호하곤 했다.

그런데 느닷없이 걸려온 전화 한 통이 모든 기쁨과 환희와 미래기획을 눌러버린 것이다. 아, 하는 짧은 탄식과 아픈 가슴 그리고 무거운 마음이 지워지지 않는다. 그의 가족과 학생들과 그가 기획한 미래가 스러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안타까운 상념(傷念). 하지만 우리는 단념하지 않기로 한다. 2년도 넘게 버텨온 그의 생명력과 낙천성 그리고 강고한 긍정적 사유와 환한 웃음이 그를 반드시 살려내리라 믿는다.

우리가 오늘 하루도 멋지게 살아갈 수 있음은 내일과 모레, 그리고 그 내일의 장밋빛 희망과 꿈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 꿈과 기적 같은 미래가 그와 함께하기를 간절히 기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