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주선 포스코 인재창조원 교수·컨설턴트
엄주선
포스코 인재창조원 교수·컨설턴트

장자의 천도편(天道篇)에는 수레바퀴를 잘 깎는 윤편(輪扁) 이야기가 나온다. 성인의 말씀은 지나간 사건이 남긴 이론일 뿐이며 재주의 지극한 것은 손으로 터득하여 마음으로 응하는 것으로, 마음을 움직이고 신령(神靈)이 모여져야 하는 것이지 입으로 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했다. 이로 미루어 지극한 도는 정교하고 미세하여 말로 전할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면서 옛날 사람들은 이미 없고 생각이나 말을 책으로 써서 남겼지만, 이것은 단지 조박(糟粕·지게미)일뿐이라고 했다. 여기서 윤편은 자신의 핵심적인 손재주인 기능을 기술화하지 못하여 자식에게 전하지 못하고 있으며, 옛 성인도 그랬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우리는 ‘기능’과 ‘기술’이라는 말을 자주 듣고 사용한다. 기능의 ‘能’은 ‘어떤 것에 능숙해지다’라는 뜻을 담고 있으며, 기능이란 ‘숙련이 작업자의 몸과 혼연일체를 이루어 분리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반면 기술은 작업자와 혼연일체를 이루고 있는 숙련을 분석, 분리하여 미숙련공에게 가르치고 일정기간의 훈련을 통해 도달할 수 있도록 만드는 방법이나 능력을 뜻한다.

현장의 많은 작업자들이 본인의 익숙한 작업인 기능을 명확하게 기술화하지 못해 기술의 부족을 몸으로 메우거나 경험적인 지식에 의존하는 사례가 빈번하다고 본다. 기능의 요소를 성문화하고 기술의 요체를 체계화, 기술화하여 빠르게 숙련에 이르게 하는 것이 개선이라 할 수 있다.

숙련, 즉 능숙함에 이르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 ‘단계적인 연습과 장기적인 훈련을 거쳐 필요 수준에 도달’하도록 만드는 것과 ‘분업화해서 숙련의 필요 수준을 낮추는’ 방법이 있다. 또한 ‘숙련의 일부 기술을 기계에 이전’하여 사람에게 요구되는 숙련의 수준을 저하시키는 방법이나 ‘감독자에 의한 숙련의 이전’ 등을 들 수 있다. 우리가 세세하게 작업을 분석해서 차이를 관측하고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면 아주 쉽고 확실하게 ‘숙련 이전’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작업을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는 능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필자가 지도했었던 부서의 사례 중 하나는, 압연할 때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압연기에 들어가기 전 후판의 방향을 바꾸는 작업을 하루에 수백 번씩 손목이 아프도록 하고 있었는데, 이를 분석하고 데이터를 축적하여 자동화한적이 있다. 압연기 운전을 하는 직원의 손끝의 감각 정도가 ‘가을날 산들바람이 불 때 낙엽이 흔들리는 수준’이라고 들은 적이 있다. 이런 수준의 감각적인 기능을 전부 기술화 하기는 어려울 수 있으나 작업을 세밀하게 분석하여 숙련된 작업자의 차이점을 찾아내고 이를 전수할 수 있도록 기술화하는 것이 접목돼야 한다고 본다.

그래야 개선의 첫째 목표인 작업자의 편리성도 실현되고 회사도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기능의 확장과 기술의 집약으로 꾸준한 개선이 이뤄질 때 사회와 문명은 계속적으로 진보, 진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