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가 뒤샹이 던지는 메타 질문.

현상(現狀)의 근원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것을 ‘메타적 물음’이라고 한다. ‘정의란 무엇인가?’, ‘나는 누구인가?’, ‘역사란 무엇인가?’등의 질문이 메타적 물음에 속한다. 우리가 일상에서 경험하는 것은 개별 현상이다. 주운 물건의 주인을 찾아주면 뿌듯함을 느끼고, 타인을 도와주면 정의를 실천한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이는 정의에 대한 일상적 경험이다. 메타적 물음은 관점을 전혀 달리하며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진다. ‘우리가 남을 도와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왜 우리는 양심에 따라 행동해야하는가?’ 더 나아가, ‘정의라는 것이 도대체 무엇일까?’ 이것은 미술에도 적용된다.

미술가들은 개별적인 미술작품을 창작하며, 감상자들이 경험하는 것은 개별 미술작품이다. 어떤 작품은 아름답게 보이고, 그렇지 않은 작품도 분명히 있다. 미술의 일상적 경험은 시각적 자극이지만, 메타 차원에서의 질문은 ‘무엇이 미술을 미술이게끔 하는가?’, ‘아름답다는 것은 무엇인가?’ 그리고 ‘미술은 무엇인가?’ 등과 같이 근원과 본질에 닿아 있다. 그래서 메타적 물음을 ‘질문 위의 질문’이라고 한다.

미술가는 물론 감상자들 역시 미술을 메타적 층위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그래야 본질을 놓치지 않을 수 있다. 메타 질문을 던질 때는 성급히 답을 얻겠다는 기대를 버려야 한다. 명확한 답이 없으면 말장난에 불과하거나 무의미한 것으로 취급을 당한다. 그런데 결코 그렇지 않다. 메타 성격의 질문은 하나의 답에 이르기 위해 던지는 질문이 아니다. 인식의 폭을 넓히기 위해 던지는 질문이 메타 질문이다.

사전은 미술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공간 및 시각의 미를 표현하는 예술로 그림, 조각, 건축, 공예, 서예 등을 가리키며, 공간 예술 혹은 조형 예술 등으로 불린다.” 이런 식의 사전적 개념정리는 피상적인 설명에 불과하다. 미술에 대한 포괄적 이해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다. 예컨대 미술은 자기를 표현하고 무언가를 창작하려는 인간의 본능적 욕구와 관계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의 본능적 욕구들은 대부분 생존을 위해 발달되었다. 그런데 미술은 생존과 직결되어 있지 않은 미적 유희처럼 보인다. 그렇다면 ‘미술 행위는 본능적 욕구이기는 하지만 생존과는 무관한 순수한 유희인가?’하는 질문을 던질 수 있다. 혹은 다른 입장을 취해 미술 행위 역시 생존을 위한 본능일 수 있다는 반론도 가능할 것 같다. 다산을 기원하며 제작했던 조각상이나, 풍요로운 사냥을 기원하며 동굴 벽에 그린 동물 그림 등을 그 근거로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집을 짓는 행위도 생존을 위한 본능적 행위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사람이 집을 짓는 행위와 새들이 둥지를 짓는 행위 사이에 차이는 무엇인지 물음이 생긴다. 사람과 동물 모두 생존을 위해 본능적으로 집을 짓는다. 그렇다면 생존을 위해 집 짓는 행위는 인간 고유의 창작 활동이 아닐 수 있다는 또 다른 의문에 도달한다.

문제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간다. 어쩌면 미술을 인간 고유의 창작 행위로 본다는 전제 자체가 잘못 된 것은 아닐까? 한때 그림 그리는 침팬지가 미술계를 떠들썩하게 한 일이 있었고, 지금은 AI가 거장들의 화풍을 학습해 그림을 그린다? 인간만이 미술을 할 수 있고 인간의 창작 행위만이 미술로 불릴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일까? 미술가가 그린 그림과 침팬지가 그린 그림 혹은 AI가 그린 그림들 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이렇게 메타 질문은 하나의 결론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질문을 통해 관점과 관점을 넘나드는 사고훈련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질문들을 계속 이어가다보면 어느 순간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거대한 지식 덩어리가 형성된다. 이것이 메타 질문을 통한 인식의 확장이다. 메타 질문을 던지다 보면 미술의 문제가 미술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거의 대부분의 문제들은 메타적 차원에서 만나게 되어 있다. 관찰되는 현상은 다를지 몰라도 본질은 매우 밀접하게 닿아 있기 때이다. /미술사학자 김석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