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순희 수필가의 2019년의 크리스마스 추억.

“탄일종이 땡땡땡 은은하게 울린다 저 깊고 깊은 산골 오막살이에도 탄일종이 울린다~.” 어릴 적, 크리스마스를 앞둔 한 달 전 즈음, 교회에서는 뒷산에서 가져온 키 큰 소나무에 솜과 색종이 고리를 연결해서 둘렀다. 트리 장식이 첫 순서였다. 발표회 준비를 하기 위해 방과 후에 교회에 모여 연습도 했다. 언니 오빠들은 전지를 여러 장 눌러 만든 차트에 성가의 가사를 적었다. 창밖을 보라, 기쁘다 구주 오셨네, 저~들 밖에 한~밤중에 양 틈에 자던 목자들, 그 맑고 환한 밤중에 뭇천사 내려와…. 하루에 노래 한 곡 이상은 익혀야 발표회에 율동곡으로 또 합창곡으로 쓸 수 있기 때문이었다.

크리스마스이브가 D-day였다. 무대가 열리는 날은 동네잔치나 마찬가지였다. 예수쟁이가 아닌 어른들도 모두 구경하러 오시니 뒷자리에 서서 보아야 할 정도로 예배당이 꽉 찼더랬다. 어린 반 친구들이 무대 첫인사를 하면 천으로 된 막이 스르르 열린다. 이 막을 열고닫는 일은 언니들의 몫이다. 작은 교회라 일인삼역은 기본이었다.

초등학생 때는 발랄한 율동곡을 담당하다가 중 1이 된 그해에는 클라이맥스에 등장하는 역할을 했다. 친구들과 함께 엄마 치마저고리 입고 십자가 대형으로 앉아서 ‘고요한 밤 거룩한 밤’ 캐럴에 맞춰 춤을 추었다. 양손에는 촛불을 들고 하는 나름 고난도 기술을 필요로 하는 율동이었다. 지금도 그때 사진을 보니 아주 심각한 표정으로 옆 사람에게 촛불이 붙을까 조심하며 애쓰는 중1의 우리들이 보여 웃음이 절로 났다. 우리보다 큰 언니 오빠들의 연극이 마지막 무대였다. 돌아온 탕자를 연기한 오빠의 손에 담배가 있어서 저걸 피워도 되나 싶어 끝나고 무대 뒤로 가서 그 오빠에게 걱정을 늘어놓았더랬다. 싱겁게도 담배로 보였던 것은 하얀 모나미 볼펜 깍지였다.

김순희수필가
김순희
수필가

동네 어르신들 격려의 박수소리가 썰물처럼 빠져나가면 그 자리에서 선물교환을 했다. 밤이 깊어갈수록 추위가 더해지고 통로에 톱밥 난로에 열기가 더해져 우리 볼은 더욱 빨갛게 들떴다. 낮에 교회로 올 때 선물 하나씩 포장을 해서 와야 했다. 누가 어떤 선물을 고를지 모르니 주는 사람도 받는 사람도 끝까지 긴장하며 즐기는 밤이었다. 커다란 상자를 골랐는데 그 속에 러시아 인형처럼 작은 상자를 겹겹이 넣어 마지막 상자에 달랑 볼펜 한 자루가 들어있기도 했고, 작고 가벼워 보여도 맘에 쏙 드는 앙고라 장갑이 툭 튀어나오기도 했으니까. 언니 오빠들의 우스갯소리까지 더해 크리스마스이브가 이브다운 밤이었다.

그렇게 밤이 늦도록 놀다 보면 권사님들이 떡국을 끓여서 들통에 담아 내오셨다. 김이 술술 나는 국을 한 대접씩 나눠 먹고 조를 짜서 동네별로 새벽송을 다녔다. 교회 앞 강 건너 무릉 3동에 갈 때는 돌다리를 건넜던, 무지 아련한 추억도 있다. 저 아래 동네인 검암에서 골마를 지나 덕마까지 오며 대문도 없이 살았던 집집이 들어가 크리스마스 송가를 부르면, 한잠 들었던 집에 불이 켜지며 어설프게 겉옷을 걸치고 나와서 과일이나 사탕, 쌀을 한 됫박 안겨주고 들어가셨다. 지금은 거의 사라진 크리스마스 행사이다. 영화 ‘러브 액츄얼리’에 스케치북으로 고백하는 장면이 나온다. 스케치북에 캐럴 싱어즈가 왔다고 말하라고 쓰여 있다. 자막엔 성가대라고 했지만, 성가대와 새벽송을 부르는 건 좀 다른 느낌이다. 새벽송을 듣고 소소한 것을 나누는 풍습이 아직도 남아있는 것 같아 내 기억은 어릴 적 고향의 그 날로 시간여행을 다녀왔다.

그때의 그 친구들이 2019년 크리스마스 즈음에 서울역 근처 힐튼호텔에서 만났다. 나 같은 소시민이 누릴 호사가 아니었지만, 고등학교 때 교회 선생님이 호텔맨이어서 가능한 일이었다. 뷔페로 점심을 먹고, 선생님이 마련해준 자리에서 선물교환을 하고 한 해의 좋았던 기억을 나누고 힘들었던 일을 서로 위로했다. 같은 추억을 가진 친구들과 새로운 기억 하나를 추가했다. 내년에도 이렇게 만나자 했었다. 코로나가 이렇게 일상을 삼킬 줄 몰랐던 시간, 인생에서 가장 아름답고 행복한 순간, 화양연화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