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현동덕여대 교수·교양대학
이재현
동덕여대 교수·교양대학

“우울한 마음 / 어두운 마음 / 모두 지워버리고 / 밝고 가벼운 마음으로 / 9월의 길을 나서게 하소서”

이해인 수녀는 시 ‘9월의 기도’에서 9월을 이렇게 노래하였다. 그렇다, 숨죽이며 9월이 왔다.

3월이 되면 어김없이 비발디의 ‘4계’ 봄 악장 선율이 여기저기서 흘러나왔고, 8월이 가고 무더위가 잦아드는 9월이 오면 또 어김없이 ‘4계’ 가을 악장의 밝고 경쾌한 음악이 귓가를 돌아 가슴에까지 닿았었다.

그런데, 올해는 아니다, 봄 노래를 들은 기억이 없고, 아직 이르긴 하지만 가을 음악을 듣지 못하였다. 아마도 봄 가을의 전령같은 음악이 전파를 타고 흘렀을 것이다. 방송 진행자들마저 계절이 오고가는 것에 무감하지는 않았을 테니 말이다. 그러나 음악이 흐른들 그 선율에 몸을 맡기고 마음을 내려놓을 여유를 가진 이가 지금 몇이나 될까. 이 겨를 없음을, 아니 처절한 무딤을 코로나 탓으로 돌리는 것을 뉘라서 뭐라 할 것인가.

코로나19가 시작된 중국에서는 이 바이러스 전염병을 신관폐렴(新冠肺炎)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모습이 마치 왕관 모양의 돌기를 가졌기 때문이다. 코로나라는 이름 또한 라틴어로 왕관을 뜻한다고 하니 무지막지한 힘을 휘두르는 바이러스에게 붙여진 새로운 모자라는 뜻의 신관(新冠)이 꽤 그럴 듯해 보인다.

왕관 쓰기를 싫어하는 이가 얼마나 있을까, 미관말직의 감투일지언정 오매불망 기다리다 넙죽 받아쓰려는 이들이 하고많지 않던가. 사람이란 존재가 원래 그런가 보다. 그러나 누구든 절대로 쓰고 싶지 않은 관이 있으니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를 지고 골고다 언덕을 오를 때 쓰셨던 가시면류관이 바로 그것이다.

나는 올 초에 ‘고래와 쥐구멍’이라는 제목의 첫 칼럼으로 연재를 시작하였다. 그 글 말미에서 “올해는 열심히 칭찬거리를 찾아서 우리 곁에 있는 사람들을 세워보면 어떨까.”라는 어쭙잖은 제안을 하였다. 그러나 두 달도 채 못 되어 코로나는 세계를 뒤덮고 사람들 몸과 마음을 들쑤셔 놓았다. 서로를 세우고 격려하고 칭찬하기로 마음 먹자고 했지만, 아무도 높이고 세우고 싶지 않았던 왕관 모양 코로나는 사람 속에서 사람을 휘어잡고 사람 위에 군림하면서 사람 사이를 가르고 찢어놓고 있다.

일부 그릇된 집단의 일탈 행위에서 비롯된 교회발 질병의 확산을 빌미로 코로나는 비기독교인의 기독교인에 대한 증오와 혐오를 가문 날의 들불처럼 번져가게 만들었고 기독교인들 사이에서마저 갈등의 골을 더 깊게 하고 있다. 가시면류관은 많은 사람을 위하여 자기 목숨을 몸값으로 치르러 오신 예수 한 분으로 족하며 또 그리스도 그 분밖에 쓰실 수 없다. 그러니 아귀다툼하듯 서로에게 가시면류관을 씌우려는 일은 이제 그만 했으면 싶다.

안도현 시인은 “9월이 오면 / 9월의 강가에 나가 / 우리가 따뜻한 피로 흐르는 강물이 되어 /세상을 적셔야 하는 것을”이라고 노래했다. 나태주 시인은 “기다리라 오래 오래 / 될 수 있는 대로 많이 / 지루하지만 더욱 / 이제 치유의 계절이 찾아온다” 하였다.

따뜻한 온기를 우리 사이에 돌게해 코로나를 빨리 물리치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