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깨가루 풀어서 끓인 포항식 고디국은 깊은 맛이 난다.

비님이 오신다. 농사를 짓는 사람들은 눈도 비도 ‘오시네’하며 대접했다. 내 고향에서는 여름 비 오는 날에는 골부리를 주우러 갔다. 맑은 날에는 해거름에 나오기 시작하는 터라 밤에 심지에 불을 켜서 잡아야 하지만 하늘이 흐린 오늘 같은 날엔 낮부터 골부리도 마실을 나온다. 친구들과 비를 맞으며 물이 무릎까지 오는 마을 앞 냇가로 가서 돌을 들춰가며 잡았더랬다.

경상도라도 안동에서는 골부리라 하고 포항 가까운 지역에서는 고디라 한다. 충청도는 올갱이, 강원도에서는 달팽이라 부르는 지역도 있고 전라도는 대사리, 표준말은 다슬기라 한다. 부르는 이름이 많다는 것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다는 뜻이기도 하다.

여름에 들어서면서 포항 오천장이 서는 날이면 늘 고디국을 사러 갔다. 특별히 맛있게 끓여서 파는 곳이 있어서 꼭 들렀다. 들깨와 푸성귀를 넣고 끓인다며 별다른 레시피가 없다는 사장님의 말이지만 우리 가족 모두 그 집 고디국의 팬이다.

충청도가 고향인 친구가 자랑삼아 올갱이국 이야기를 신나게 들려줬다. 5월에 고추를 심고나면 중순부터 모내기를 하고나면 소농들은 고추 따기 전까지 크게 할 일이 없어져서 6∼7월은 올갱이를 줍는 시기였단다. 냇가 중에도 햇빛이 뜨듯이 잘 받는 그런 곳에 씨알이 굵은 올갱이가 산다. 물은 너무 깊지도 않아 천렵하기 좋은 곳으로 가야 한다. 그 곳의 호박돌(아이들도 들춰 볼만한 수박보다 작은 크기의 돌)에 특히 이끼가 많이 끼어 있어서 그런 돌을 넘기면 올갱이들이 많이 붙어 있다. 손으로 건들기만 해도 떨어져서 잡기 쉽다. 큰 양파망과 세숫대야 하나씩 들고 간다. 물에 엎드려 양파망에 주워 담은 올갱이를 집까지 살려오려면 대야에 담아 와야 하기 때문이다.

온가족이 나들이하듯 밥도 싸서 갔단다. 도시락이래야 맨밥을 주먹만 하게 뭉치고 열무김치와 고추장만 싸서 갔다. 줍다 지치면 나와서 새참 먹다 멱도 감으며 추스르다 양파망 가득 올갱이가 차면 돌아왔단다. 해감한 올갱이는 낡은 옷가지를 함께 넣어 바락바락 문질러서 윤이 나게 씻었다. 채반에 물기를 빼면 안테나 달린 얼굴을 빠끔히 내민다. 아는 맛은 항상 미안함을 누르고 솥에 넣고 삶아졌다.

온 식구가 둘러앉아 바느질하던 바늘을 소독해서 까기 시작했다. 아버지는 눈이 침침해 안 보인다고 물러앉고, 아이들은 쏟아지는 졸음과 싸우다 쓰러졌는데도 아침이면 엄마가 만든 올갱이국이 상위에 올랐다. 별 양념없이 된장만 풀어서 집에 있는 푸성귀로 슬렁슬렁 끓인 국이지만 식구들에게는 여름내 보양식이었고, 아버지에게는 특별히 시원한 해장국이었다. 냉장고가 없으니 세끼정도 먹을만치만 끓였고 또 며칠 뒤 나가서 잡아오는 식으로 여름내 올갱이국을 먹었다고 한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다슬기에 대하여 성질이 차고, 맛이 달며, 독이 없는 식품이라 하였다. 초록을 띠는 엽록소에는 식물 10배의 클로로필이 있다. 간에 좋고 눈을 밝게 한다니 만병통치이다.

김순희 수필가
김순희 수필가

포항에서는 고디를 삶은 물에다가 들깨국물을 넣고 특히 정구지(부추)를 많이 넣는다. 음력 정월부터 구월까지 김치를 담서 우리네 밥상을 채워준다 하는 정구지와 밭에서 나는 배추시래기·양파줄기·파 등을 더 넣고 끓이다가 고디 살을 넣으면 국이 완성된다. 여름철에 보리밥과 함께 겻들이면 더욱 별미이다.

먼저 내온 버섯무침을 맛보며/ 올갱이 잘 줍던 평복이 누나 영숙이 누나,/ 푸근하던 웃음과 눈매 떠오르고, 올갱이 줍던 그 희고 통통하던 종아리들 생각나고,/ 저녁상 물린 뒤 삶은 올갱이 옷핀으로 빼먹던 생각 나고/ 이빨로 올갱이 꽁지 뚝 땐 다음 단번에 쪽 빨아 먹던 형님들 생각나고/ 나도 따라 해보다가 이 아파 쩔쩔매던 생각도 나다가/ ‘영동에서’ 일부(김사인)

영양군 청기면에서는 골부리축제가 열린다고 한다. 코로나가 끝나면 영양으로 달려가 종아리 걷고 골부리 잡는 체험을 해볼 작정이다. 어린 시절 친구들도 불러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