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희<br>인문글쓰기 강사·작가<br>
유영희
인문글쓰기 강사·작가

최근 어느 시민 단체에서 구청의 부조리를 비판한 성명서를 보며 오만한 태도에 화가 났다. 며칠 전에는 양심을 찾으라고 모 재벌 총수를 비판하는 어느 종교 단체의 성명서가 훈장님 훈계처럼 느껴져 실소가 나왔다. 그러면서도 이런 분개는 비겁한 것이 아닐까 의구심이 몰려온다. 그러노라니 문득 김수영의 시가 떠오른다. 김수영은 그의 시 ‘어느날 고궁을 나오면서’에서 언론을 억압하는 권력에는 아무 말 못하고 기름덩어리 갈비탕에만 분개하는 자신이 옹졸하다며 작디작은 자신을 자책했다.

구청의 부조리나 재벌의 편법에 얼마나 분개했나 생각해보면 아무래도 지금의 분노는 김수영이 옹졸하다고 했던 그 감정과 비슷하다. 큰일에는 아무 말 하지 않고 그것을 비판하는 성명서는 오만한 훈계라며 분개하다니, 옹졸하고 비겁하다는 부끄러움이 몰려오는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기름덩어리 갈비에 분개하는 것은 왜 떳떳한지 못한지, 성명서를 비판하는 것은 왜 정당하지 못한지 생각해보게 된다. 이것은 그저 화이기 때문일지도 모른다는 데로 생각이 미친다.

화와 분노는 다르다. 틱 낫한 스님의 ‘화’라는 책에서 강조했듯이 화는 조절해야 할 감정인데 비해, ‘분노하라’, ‘왜 분노해야 하는가’라는 책에서 말하는 것처럼 분노는 일으켜야 할 감정이다. 화는 정당하지 못하고 미숙한 감정이고, 분노는 정당하고 성숙한 감정이다. 성명서를 보며 일어나는 감정은 분노가 아니라 화라서 부끄러운 것인지도 모른다.

그런데 문제는 김수영의 옹졸한 분개나 요즘 일어나는 감정이 화인지 분노인지 분명하지 않다는 것이다. 언론을 탄압하는 권력도 부당하지만 기름덩어리 갈비탕을 주는 음식점 주인도 옳지는 않다. 구청이나 재벌에게 문제가 있는 것과는 별개로 시민 단체나 종교 단체도 잘못할 수 있다.

그렇다면 화와 분노를 잘못한 대상이 작으냐 크냐로 구분하는 것은 이상하다. 분노는 적절한 감정이고 화는 부적절한 감정이라면, 잘못한 대상이 사회에서 얼마나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느냐로 옹졸한지 아닌지 결정할 것이 아니라 얼마나 적절하게 표현했느냐로 결정해야 하는 것은 아닐까?

‘중용’에 “기뻐하고 화내고 슬퍼하고 즐거워하는 것이 절도에 맞게 표현되는 것이 조화”라는 말이 있다. 희로애락의 감정 자체는 잘잘못이 없다. 절도에 맞느냐 안 맞느냐 그것이 문제일 뿐이다.

권력의 부당함에 분개하더라도 적절함을 넘어서면 좋은 비판이 되기 어렵다. 작은 일에 분개하더라도 적절하게 분개한다면 부끄러워할 일은 아니다.

김수영은 스펀지를 만들고 거즈를 개키는 일이 작다고 한탄했지만, 그런 일도 누군가는 해야 하고 필요한 일이다. 그와 마찬가지로 비판의 대상이 작다고 하더라도 문제가 있다면 누군가는 분노해야 할 일이다. 분노의 대상이 크냐 작으냐보다 그 분노가 적절한지 여부가 더 중요하다. 적절하게 분노한다면 그것으로 충분히 떳떳하고 용기 있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