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을 쥐려면 언론을 장악하고, 한 국가를 취하려면 역사를 장악하라”고 했다. 일제가 한국을 침탈한 후 가장 먼저 한 일이 `한국사 왜곡 훼손`이었다. 그것이 바로 `한국 고대사 말살`이다. 고대사 관련 서적들을 찾아내어서 산더미 같이 쌓아놓고 불을 질렀다. 그러나 다행히 `삼국유사`만은 살아남아서 `고조선의 건국사`를 우리가 배울 수 있게 되었다.

“좌파정권 10년간 우리나라 역사학계는 좌편향됐다”고 원로 사학자들은 지적한다. 북한 사회주의 정권의 업적을 치켜세우고, 천안함 폭침이나 북한의 인권침해에 대해서는 한 마디 언급이 없는 역사교과서를 편찬한 것이 그 증거라는 것이다. 분단국가에서나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교학사가 간행한 한국사가 좌파들에 의해 돌팔매를 맞은 것도 보수편향의 역사교과서이기 때문이다. 명목상은 “종군위안부들이 이동하는 군부대를 따라갔다”란 표현이 `친일적`이라 하지만 실상은 `좌파적 구미`에 맞지 않는 내용이 많기 때문이다.

우파 보수 교과서가 아예 고개도 내밀지 못하게 만든 것이 이번 교학사의 한국사 파동이다. 1천974개 고교 중에서 불과 20여개 학교에서 이 책을 채택했는데, 그것도 “용납할 수 없다”며 좌파단체들이 가로막았다. 교학사에는 살해협박 전화가 걸려왔고, 학교에 항의방문을 하고 현수막을 들고 교문앞에서 시위를 했다. 교과서가 공개되지 않았는데, 일부 학부모는 선동자들의 말만 듣고 반대를 했다. 교과서 내용도 모른 채 `친일 독재 교과서`라고 믿어버린 것이다.

성균관대 양정호(교육학) 교수는 “학교가 자율적으로 결정한 사안을 외부에서 맞다, 틀리다 비난하는 것은 여론몰이식 재판일뿐”이라 했고, 교학사 측은 “정치권과 시민단체가 나서서 학교의 선택권까지 비판하는 것은 명백한 테러”라며 검찰에 수사를 요청할 것이라고 했다. 이성무 전 국사편찬위원장은 “진영논리로 상대방 주장을 무조건 비판하는 풍토에서는 국정이든 검정이든 소용 없다. 전문 인력을 키워 팩트에 가깝게 만든 후 수용해야 한다”고 했고, 안병직 서울대 명예교수는 “검정체제에서는 갈등이 반복되니 국정교과서로 돌아가야 한다. 역사학자뿐 아니라 정치 경제학자 등도 교과서 제작에 참여해야 한다”고 했다.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역사는 진영논리에 따라 춤을 추어서는 안된다. 국정교과서로 다시 돌아가는 방안을 진지하게 논의해야 할 때가 됐다”고 했다. 분단국가가 아닌 나라들은 `다양한 역사교과서`가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이념적으로 갈라진 나라에서는 그 `다양성`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번에 입증됐다. 그렇다면 길은 `국정으로의 회귀`뿐이다. 다만 다양한 견해를 가진 학자들을 참여시켜 이념에 편향되지 않는 교과서를 만든다는 조건이 붙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