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병원이 처방하는 의약품 가격의 최고 60%를 리베이트로 챙기고 있다고 중국의 관영 싱크탱크인 사회과학원이 주장했다.

중국 21세기경제보도는 사회과학원이 지난 1~3월 베이징을 비롯해 저장(折江), 푸젠(福建), 후난(湖南), 후베이(湖北) 등 전국 각지를 현장조사한 결과 정부가 정한 기본의약품 표준가격 가운데 많을 경우 60%가 병원 또는 의사 개인에게 리베이트로 돌아가는 몫으로 드러났다고 2일 보도했다.

사회과학원 경제연구소 주헝펑(朱恒鵬) 연구원은 “전국 각지의 2~3급 병원을 조사한 결과 적게는 약값의 40%에서 많게는 60%를 병원 및 의사들이 리베이트로 챙기고 있었다”면서 “이는 공공연한 관행이 돼 있었다”고 비판했다.

주 연구원은 이런 현상은 역설적으로 정부가 지난해 기초의약품을 직접 관리하기로 한 뒤부터 더 만연하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페니실린의 경우 과거에는 0.34위안(61원)에 0.01위안의 배송비를 합쳐 병원이 0.35위안에 구매해 0.72위안에 판매했지만 정부는 의약품 관리제도 시행 후 기준가격을 0.75위안으로 올렸다.

약값이 0.4위안 오른 혜택은 제약회사가 병원 및 의사들에게 갖다 바치는 공공연한 `리베이트`가 돼 버렸고 소비자들 역시 0.72위안에서 0.03위안 오른 가격으로 약을 살 수밖에 없는 처지가 됐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약품은 최종 소비자가 환자지만 사용을 결정하는 사람은 의사이기 때문에 제약업체들은 경쟁적으로 높은 수수료를 제시, 약값 상승을 부추기는 상황이다.

실제로 공장도가가 15.5위안(2천780원)에 불과한 항암치료제인 루쑨폔(蘆筍片) 1병이 병원에서 공장도가의 13.7배에 달하는 213위안(3만8천원)에 판매되는 등 병원이 의약품 공장도가의 13배에 달하는 폭리를 챙기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제약회사들은 약값은 비싸지만 실제로 얻어가는 이윤은 크게 다르지 않다면서 문제의 근원이 제약회사에 있다고 매도되는 것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