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 명 이상 의대생 휴학 신청
근무지 이탈도 8천여 명 넘어
의료현장 수술·진료 축소 피해

의대 증원에 반대하며 집단 사직한 전공의들을 상대로 정부가 연일 강경 대응 방침을 강조하고 있지만, 단체행동에 참여하는 전공의들의 규모가 커지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미복귀자에 대한 의사면허 정지 등 행정조치를, 법무부는 집단행동 주동자 구속수사 원칙을 내세우며 압박에 나섰지만 환자 곁을 떠난 전공의 수는 오히려 소폭 늘었다.

전공의들의 업무 중단이 사흘째를 맞으며 의료 공백과 환자들의 고통은 함께 커지고 있다.

‘선배들’과 함께 동맹휴학이라는 집단행동에 나서는 의대생의 수도 늘어 1만명을 넘어섰다.

2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날 오후 10시 기준 주요 100개 수련병원을 점검(47곳 현장점검·53곳 서면보고)한 결과 소속 전공의의 74.4%인 9천275명이 사직서를 제출했다.전날 집계 때보다 459명이 늘었다.

이들 100개 병원에는 전체 전공의 1만3천여명의 약 95%가 근무한다.지금까지 사직서가 수리된 사례는 없었다.

근무지 이탈자는 소속 전공의의 64.4%인 8천24명으로, 하루 전보다 211명 늘었다.

복지부는 현장점검에서 근무지 이탈이 확인된 전공의 6천38명 중 이미 업무개시명령을 받은 5천230명을 제외한 808명에게 업무개시명령을 내렸다.

정부가 면허정지와 사법처리 가능성을 강조하는데도 집단행동에 참여하는 전공의들의 몸집이 커진 것에는 과거 여러 차례 집단행동을 했지만 처벌된 사례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는 ‘의사불패’ 경험이 동력이 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번에는 과거와는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며 업무개시(복귀)명령을 어기면 의사면허 정지 등에 나서겠다고 누차 강조하고 있다.

박민수 복지부 2차관은 이날 브리핑에서도 “명령이 이행됐는지를 두세차례 걸쳐확인하고 그것이(어겼다는 것이) 확인되면 법에 따라 처분 절차에 들어갈 것”이라고말했다.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이 계속되면서 의료 현장의 수술과 진료 축소 규모가 커지고 있다. 수술실 가동률이 절반 밑으로 떨어지고, 암이 전이된 환자의 수술이 취소되는 등 ‘의료공백’으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환자들에게 돌아가고 있다.

의대 증원에 반발한 의대생의 동맹(집단)휴학도 확산하고 있다. 의대생 10명 중 6명꼴로 휴학계를 제출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