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공천 전쟁 본격화
현역·출마자, 진정·투서 잇따라
공관위까지 나서 비방 자제 당부
대구경북 16~17일 신청자 면접

설 연휴 이후 국민의힘이 공천 작업에 속도를 내면서 대구·경북(TK) 지역도 피 튀기는 공천전쟁이 본격화됐다.

12일 국민의힘에 따르면 13일 공천 신청자 중 부적격 판정을 받은 사람을 제외한 820명이 공천관리위원회 면접을 본다. 여권 험지로 꼽히는 서울과 제주, 광주를 시작으로 닷새 동안 이어진다. 여권의 텃밭인 TK지역은 16∼17일 양일간에 걸쳐 진행된다.

면접을 앞둔 TK지역은 본선보다 치열한 예선전이 전개되고 있다. 당 지지도가 높아 공천을 받으면 당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대통령실 참모, 전직 의원, 인지도 높은 원외 인사들이 대거 몰려들었다. 공천 경쟁이 과열되면서 각종 마타도어가 난무하고 있다. 당 공천관리위원회까지 나서 비방 자제를 당부했지만 공관위에 현역 의원은 물론 출마자들에 대한 진정과 투서 등이 쇄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TK물갈이가 어떤 형식으로 이뤄질 지가 최대 관심사다. TK지역 25명의 현역 중 김희국(군위·의성·청송·영덕) 의원은 공천을 신청하지 않으면서 불출마 수순을 밟고 있고, 추경호(대구 달성) 전 경제부총리와 정희용(고령·성주·칠곡) 의원은 사실상 단수 공천된 상태인 가운데 남은 22명은 공천 물갈이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런 와중에 부산·경남(PK) 중진들의 낙동강 벨트 차출설이 나도는가 하면 여권 텃밭에 출마한 대통령실 참모들의 지역구 이동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다.

실제 서병수·김태호 의원은 PK지역 내 험지로 지역구를 옮겼고, 조해진 의원도 당으로부터 김해 출마를 요청받은 상태다. 이 외에도 김기현 전 대표를 비롯해 서울 강남을에 공천을 신청한 이원모 전 인사비서관도 지역구 이동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바라보는 TK의원들의 마음은 편치 않다. TK지역은 PK지역과 달리 험지나 민주당 의원이 없다. PK처럼 ‘자객 공천’ 적용을 통한 중진 희생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덩달아 TK지역에 공천을 신청한 대통령실 참모 출신들의 거취도 주목받고 있다. 구미을에는 강명구 전 국정기획비서관, 허성우 전 국민제안비서관이, 대구 북갑에는 전광삼 전 시민소통비서관이 국민의힘 공천을 신청했다.

당 지도부도 TK공천을 놓고 고심이 커지고 있다. 지난 총선에서 TK현역의원 교체율이 64%에 달했던 가운데 TK쇄신 흐름을 이어갈 마땅한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진들에 대한 불출마를 요청하거나 다소 경쟁력 있는 의원들을 수도권으로 배치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이와 관련, 당 핵심 관계자는 “이기는 선거를 하기 위해서 지역구 이동을 포함해 이것저것 다 고려해 공천할 것”이라며 ‘지역구 교통정리’ 가능성을 열어뒀다. 이같은 흐름에 대해 TK의원 등은 손사래를 치며 공천을 신청한 지역에 출마하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드러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TK중심으로 나올 수 있는 공천 잡음을 당 지도부가 최소화할 수 있을 지가 관심사다. 대통령실 참모 등이 텃밭에서 공천을 받을 경우 윤심(尹心·윤석열 대통령 의중)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이 있다. 이와 함께 면접과 당 기여도 평가가 사실상 정성평가로 이뤄지기 때문에 공천 탈락자들의 탈락 사유를 납득시킬 수 있을 지도 의문이다.

공천 심사에서 원천 배제된 부적격자 29명의 반발도 공천 뇌관으로 남아있다. 고령·성주·칠곡에 공천을 신청했으나 부적격 판정을 받은 이완영 전 의원은 이의신청을 제기했고, 김성태 전 원내대표도 “우리당과 대통령 주변에 암처럼 퍼져있는 소위 ‘핵관’(핵심 관계자)들이 만들어낸 결과”라고 반발한 상태다.

한편, TK지역 공천자 윤곽은 2월 말 또는 3월 초부터 드러날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의힘은 “경선을 실시해야 하는 지역구는 후보를 몇명까지 포함할지 등을 놓고 세밀한 검토가 필요한 만큼 면접 다음날 경선 대상자를 발표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장동혁 사무총장도 “어려운 순서대로 면접을 실시한다”며 “어려운 지역은 조금 더 먼저 단수추천자가 발표될 것”이라고 했다. TK지역에서 공천 탈락자가 결과에 반발해 무소속으로 출마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발표 시기를 최대한 늦추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