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용의 신령스러움 때문인지 2024년 갑진년의 첫 해돋이는 베일에 가려졌다. 부산이나 강릉 등 동해안 일부 지역에서는 구름 사이로 떠오르는 새해의 첫 아침해를 볼 수 있었지만, 영일만과 호미곶 인근 지역에서는 두터운 구름에 가려져 대부분 해맞이를 할 수 없었다. 일출명소에서는 해맞이객을 위한 이벤트를 마련하는 등 모처럼 활기를 띠며 부산한 모습들이었으나, 끝내 수평선 위로 떠오르는 해를 볼 수 없게 되자 서둘러 발길을 돌리거나 아쉬워하는 눈빛이 역력해졌다. 매일같이 뜨는 해지만 새해 첫날에 뜨는 해를 맞이하는 건 의미가 다르기 때문이다.

산에서의 해맞이 상황도 비슷했다. 필자는 십수년째 새해 첫날 새벽에 포항의 관문격인 형산에 올라 해맞이를 하곤 했었는데, 올해처럼 해를 못보기는 처음이었다. 그러나 일출을 보러 온 사람들은 해가 떠오르거나 말거나 상관없이 포항시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곳을 배경삼아 사진을 찍거나 형산갓바위에 불공을 드리는 등으로 새해 새날의 설렘을 누리는 것 같았다. 약간의 아쉬움을 떨쳐버릴 순 없는 것 같았지만, 나름 뜻있고 진지하게 새날을 맞이하고 있었다. 필자 역시 새벽에 일어나 쓴 신년휘호를 산정에서 펼치며 새해의 다짐을 되새겨 보기도 했었다.

올해는 갑진년 용의 해에 어울리는 사자성어 ‘용상운기(龍翔雲起)’를 나름대로 선정해 연하장 겸 새해의 바람이나 목표로 삼아 몇가지 서체로 써서 지인 등의 분들에게 나눠줬다. 용이 날고 구름이 일어난다는 뜻의 용상운기는, 전쟁과 대립, 이변 등 격랑의 여울 같은 시대의 소용돌이에 용이 승천하며 빙빙 돌면서 날 때의 힘찬 기운으로 구름이 흩어졌다 모이며 일어나듯이, 매사에 힘차게 용솟음쳐서 어려움을 극복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특히 청룡은 힘과 행운, 번영을 상징하기에 총선과 사회전반의 흐름, 북한의 위협적인 태도, 국제적인 정세 등에 용의 기상으로 지혜롭고 꿋꿋하게 헤쳐 나가길 바라는 염원을 담고 있기도 하다.

용은 십이지 중 진(辰)은 유일하게 상상 속 동물인 비와 구름을 관장하는 영수(靈獸)로 다산과 농경사회의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왔으며, 황제와 지배층 등 왕실 예복에 용의 문양이 자주 새겨져 위엄과 존엄성을 나타내기도 했었다. 갑진년의 갑(甲)은 천간의 첫번째로 큰 나무(大林木)를 뜻하고 진(辰)은 지지의 다섯번째인 토(土)인데 열두 달 중에 음력 3월에 해당되므로 나뭇잎을 싹 틔우는 희망의 흙을 상징한다고 한다. 따라서 2024년은 ‘큰 나무에 새싹이 돋는 희망을 향한 변화와 변혁의 시기’로 ‘혼란을 극복하며 피어나는 희망의 꽃봉오리’라고 표현할 수 있다.

새해 첫날의 잔뜩 낀 구름이 어쩌면 분쟁과 갈등, 혼란과 딜레마를 예고하는 암울함 인듯하지만, 구름 사이로 비치고 나타나는 밝은 햇살이 화합과 재도약을 모색하는 긍정과 희망적인 빛살로 비춰지리라 믿는다. 그래서 국민의 안위가 평온해지고 국운이 번성해지는 시기가 되지 않을까 내심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