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규열 전 한동대 교수
장규열 전 한동대 교수

사람은 사람을 모른다. 그래서 사람은 사람에 관해서 늘 궁금하다. 나는 사람들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다 보니, 사람을 유형별로 나누는 습관이 생겼다.

혈액형으로 사람을 제 종류로 구분하더니, MBTI는 인간의 성향을 열여섯 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대학입시와 관련하여 문과와 이과로 나눈다. 공교육의 문턱을 나서는 어린 학생을 두 가지 성향으로 나누어 오가지 못하게 설정하는 게 옳은 일일까. 다행히 최근에 수능은 문이과를 구분하지 않는 통합형으로 치른다.

그러면서도 수학과목에 통계와 확률을 선택하면 ‘문과’로 이해하고 기하와 미적분을 선택하면 ‘이과’로 본다. 문과와 이과를 구분하는 뿌리깊은 인식구조가 아직 살아있는 셈이다.

문과와 이과 구분을 없앤다는 정책이 저 ‘선택’ 탓에 오히려 왜곡되고 있다. 고등학교에서 문과가 사라지고 있어 교육계는 학교교육이 뒤틀리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과를 선택하면 대학입시에 유리하여 문과 성향 학생들마저 이과 수학을 선택한다고 한다. 이과적 또는 문과적 성향의 구분이 과연 가능할까.

학문과 전공분야에는 이과와 문과 구분을 모호하게 하는 선택지가 넘치도록 많다. 직장사회와 직업구조도 문이과를 구분하기보다 오히려 문과와 이과적 사고와 태도 가운데에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기를 기대한다. 문과적으로만 생각하거나 이과식으로만 사고하는 세상이 이미 아니다. 문과와 이과는 선택사항이 아니라 누구나 겸비해야 하는 소양성향쯤으로 이해해야 한다. 개인의 기호와 성향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 가질 수도 있고 덜 가질 수도 있지만, 누구나 문과와 이과적 이해와 태도를 버무려 장착해야 한다.

문제는 유형별로 발생하지 않는다. 기업경영은 문과인가 이과인가. 가정살림은 이과인가 문과인가. 상황은 언제나 복합적으로 발생한다. 통합적이며 균형잡힌 사고가 날마다 필요하다. 상황을 분석해야 하고 사람을 읽어야 한다. 숫자에 밝아야 하고 느낌을 짚어야 한다.

배경지식도 필요하고 미래예측도 있어야 한다. 우리는 어떤가. 문과와 이과라는 벽을 치고 칸을 만들어 서로 오가는 일마저 불편해져 버렸다. 문과와 이과는 함께 나눌 이야기마저 궁핍해져서 사회는 또 다른 양극화를 겪는다. 넘나들기 어려운 섬들이 생겼다. 문과적 소양과 이과적 능력을 따로 구분해서 배우고 가르치는 일은 이제 그만해야 한다. 학생들이 균형잡힌 인성을 형성해가도록 이끌어야 한다. 문학과 역사, 수학과 과학을 넘나들며 폭넓게 배우도록 도와야 한다.

무엇을 가르쳐야 하나. 유네스코(UNESCO)는 네 가지 영역을 든다. 분석적 사고 (Critical Thinking), 상상과 창의(Creativity), 협력과 상생(Collaboration), 소통과 교류(Communication)라 한다. 문과나 이과의 구분은 보이지 않는다. 과목의 이름도 없다. 통합적으로 균형잡힌 교육을 지향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래를 바라보며 정상적으로 발전하기 위하여 우리 교육이 문과와 이과라는 케케묵은 구분부터 실질적으로 없애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