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 한국화가 황연화
‘인간+자연’에서 비롯된 유년의 기억, 독특한 회화 장르로 발전시켜
부드러운 물살이 도 일깨우듯 무기교적 미학이 테크닉 뛰어넘기도
장인정신 깃든 작품 통해 삶의 격조 높이는 예술의 매력 전하고 싶어

“참된 예술성을 위해서는 남다른 정체성에서 비롯된 고유한 미적 가치가 필요함을 깨달았습니다. 독자적 정체성의 확보를 위해 한국 미(美)의 원류에 대한 모색을 일찍부터 시작했다고 할까요. 전통과 역사와 삶 속에서 이것을 찾을 수 있었죠.”

한국화가 황연화(56·문경시) 중원대학교 교수는 대구·경북은 물론 한국 화단에서도 두각을 나타내는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여성 예술인으로 꼽힌다.

무엇보다 그는 모더니즘 미술을 적극 실험하면서도 고전적 소재를 차용해 고유성을 부여하는 데 힘썼다. 기운생동의 한국화에 30여 년 넘게 천착해 온 황 작가를 지난 6일 만나 최근 21번째 개인전을 마친 소회 등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눴다.

-올해 들어 중원대학교 박물관 초대로 대작 중심의 개인전을 열었고 충북의 제42회 설성문화제 기간에 맞춰 음성문화원에서 ‘유년의 기억’ 시리즈로 21번째의 개인전을 가졌다.

△내 작품의 공통된 주제인 ‘Human+Nature(인간+자연)’에서 비롯된 ‘유년의 기억’이 주제다. 캔버스에 물감의 오묘한 우연적 번짐을 바탕으로 두고 그 위에 물감으로 형상을 표현하는 작업이다. 종이비행기나 종이배, 도자기나 꽃 등 일련의 표현에서 벗어나 좀 더 자유롭게 변화된 내면적 세계를 표현하고자 했다. 특히 탈 캔버스 상태의 작업이 어떨까 하는 고민을 풀고자 시도했다.

-황 작가는 작품 속에 독자적 미감을 담아내어 성공적인 예술 세계를 이룩했다.

△민화를 바탕으로 한 채색화로 시작해 전통 천을 바탕으로 이용한 회화와 함께 최근에는 우연의 추상적 바탕을 이용한 유년시절의 기억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선과 채색으로 노련미를 더한 독특한 회화 장르로 발전시키고 있다.

-인간+자연, 유년의 기억 등 회화의 일련의 공동주제를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화가들은 유년시절을 동경하고 순수한 감정과 아름다운 행동들을 떠올리며 그것을 화폭에 담기도 한다. 유년시절에 사용하던 이불보나 보자기 옷가지를 모아 바탕 재료로 쓰는 일은 정말 즐겁고 흥미롭기만 하다. 종이배와 딱지, 비행기를 그리는 동안은 지금도 그 시절이 아닌가 하는 착각에 빠지게 한다. 기교나 멋을 배제하며 어린이가 낙서하는 즐거움과 순수성을 재현하려는 것이다. 부드럽게 흐르는 물살이 도를 일깨우듯 무기교적 미학이 최고의 테크닉을 뛰어넘을 수도 있다는 생각으로 대한다.

-화가로서 이론을 겸하면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은 부담이 되지는 않는지?

△모든 일에 모자라는 만큼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 나의 지론이다. 입시생도 모아야 하고, 시대에 맞게 교재도 개발해야 하고 학생들도 가르치고 교수들과의 소통도 중요하다고 본다. 특히 강의는 학생들의 미래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는 장으로서 그 역할이 크다. 그래서 개성과 사고가 남다른 MZ세대들을 아들, 딸 같이 정성과 애정으로 소통하고 가르치려고 노력을 한다. 창작과 강의는 어느 것도 소홀히 할 수가 없어서 때로는 힘들기도 하지만 강의실에서 보내는 학생과의 시간은 교육자로서의 보람이 크다.

-그동안 작가로서의 여정과 철학을 돌아본다면?

△대학 시절 채색화를 열심히 배울 때 화가로서의 미래를 열었다는 생각이 든다. 민화를 현대적으로 표현하는 시도가 변화의 시발점이었고 고미술상을 돌며 구하거나 고향에서 이불보나 다양한 천 조각과 헌 옷을 수집하면서 유년시절을 더욱 그리워하게 되었다. 특히 다시 돌아온 고향에서의 정착은 유년시절을 집요하게 떠올리게 하는 촉매제가 되었다. 중국 유학은 한국적이고 토속적인 미감에 대한 물음에 답을 찾고자 시간을 투자한 셈이다.

 

황연화 한국화가
황연화 한국화가

-수많은 국내외 개인전과 청년 시절 올해의 청년작가에 선정되었고 2020년 미국대통령상(금상)과 세계미술공모전에서 그랑프리, 2023년 서울국제비엔날레에서 우수작가상을 받는 등 많은 상을 수상 하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이나 작품이 있다면?

△상이란 열심히 천착하는 자세에 대한 행운이라고 생각을 한다. 작품은 늘 고민과 숙제를 안고 하는 행위라서 ‘좋다’, ‘아니다’ 답을 갖고 창작에 임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마음에 드는 작품이 없다. 굳이 선택하라면 찢어지고 기워지고, 조각천으로 모자이크처리를 한 이불보에 물감과 먹, 연필로 민화적이고 현대의 드로잉적 요소를 가미한 ‘인간+자연’ 시리즈를 내세우고 싶다.

-앞으로의 바람이나 계획은?

△이제 30년 예술활동의 변화를 보여주는 시점이 지금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예술혼과 장인정신이 깃든 작품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인생의 밀도를 더하는 향기와 삶의 격조를 높이는 예술의 매력을 전해드릴 수 있으면 좋겠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