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 한국국학진흥원 유교문화박물관장 최은주
국내 첫 유교 전문박물관으로 선조들의 전통 기록유산 등 전시
기탁 유산 63만여점 대부분 한문 기록이지만 한글 자료도 많아
한글주간 유물 전시·수험생 응원전시 등 다채로운 기획전 예정

최은주 한국국학진흥원 유교문화박물관장

“한국국학진흥원 유교문화박물관은 전통 기록유산에 담긴 우리 선조들의 삶에 관해 이야기합니다. 다채로운 전시 사업을 통해 K-컬처의 열풍에 동참하겠습니다.”

최은주 한국국학진흥원 유교문화박물관장은 2021년부터 국학자료팀장을 맡아 국학 자료의 수집 보존 관리 업무와 국학진흥 청년 일자리 사업을 총괄해왔다. 한문학을 전공한 그는 올해 1월부터 유교문화박물관장 소임을 겸하게 됐다. 지난 2일 최 관장을 만나 박물관의 사업과 운영에 대해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눴다.

-한국국학진흥원 유교문화박물관에 대해 소개해 준다면.

△2006년에 개관한 유교문화박물관은 한국국학진흥원의 부속기관으로 국내 최초의 ‘유교’ 전문박물관이다. 유교문화박물관답게 상설 전시 공간은 유교의 실천덕목인 수신-제가-치국-평천하의 순으로 스토리 라인이 구성되어 있으며, 매년 새로운 주제를 담아 기획전시를 개최하고 있다. 2020년 7월에는 박물관 바로 옆에 개방형 수장고 형태인 세계기록유산 전시체험관을 개관했다. 이곳에서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 ‘한국의 유교책판’과 ‘한국의 편액’ 등을 직접 만나볼 수 있다.

-그동안 유교문화박물관의 주요 성과는 무엇이 있었나.

△박물관의 역사가 20년을 바라보는 만큼 그동안 다양한 전시 사업을 펼쳐왔다. 유교문화박물관이기에 주력했던 것은 전통 시대 선조들의 삶에 파고든 ‘유교 철학’의 영향과 의미를 전시에 담아내고자 했다. 우리는 지금 급속도로 발달한 기술과 함께 물질 만능의 시대를 살고 있다. 그 속에서 우리가 잃어버린 정신적 가치를 뒤돌아보고 우리가 당면한 사회적 위기를 고민하며, 선조들이 남긴 ‘전통 기록유산’에서 그 해답을 찾아보려는 전시들을 지속적으로 개최해왔다는 것이 유교문화박물관이 이룬 가장 큰 성과라고 생각한다.

-현재 관람할 수 있는 유교문화박물관의 전시는.

△지금 유교문화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는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한글 자료 특별전 ‘모두의 글자, 한글’ 전시가 진행 중이다. 이 전시는 백성을 위한 마음으로 모두를 위해 만든 ‘한글’이 일부 계층 소수 집단의 글자였던 한문 중심의 시대를 어떻게 거치며 관련 기록유산들을 만들어냈는지 그 역사적 과정을 담아내려고 한 것이다. 본원에 기탁된 63만여 점의 전통 기록유산은 대부분 한문으로 기록된 것들이다. 이렇게 넘치는 한문 중심의 국학 자료들 속에 어떤 한글 자료들이 남아있는지 그 현황과 의미를 되짚어 보려고 하였다.

-한국국학진흥원의 전통 기록유산은 대부분 한문으로 쓰였을 거라고 생각했다. 한글 자료가 많다는 것이 흥미롭다. 한글 자료 특별전에 대해 더 소개한다면.

△한국국학진흥원에서만 볼 수 있는 한글 자료들이 대부분이다. 18세기 전국의 사투리(방언)를 비교 분석해 기록한 강후진(1685~1756)의 ‘찬집감영록’(권7)은 지금 우리가 알기 어려운 당시 평안도·함경도·황해도의 사투리를 확인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롭다. 서애 류성룡의 6세손 류운(1701~1786)이 서울에서 의금부도사를 역임할 당시 막 맞이한 서울 출신의 며느리 연안이씨에게 보낸 50여 통의 한글 편지도 전시되어 있다. 조선 시대 지방 출신의 시아버지와 서울 출신의 며느리는 어떤 사연으로 어떤 이야기들을 나누었는지 한글 편지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한국국학진흥원은 국학 자료 최다 소장기관으로 알고 있다. 63만여 점이라는 국학 자료에 대해 의미를 부여한다면.

△63만여 점이라는 숫자의 방대한 규모는 그 자체로 의미가 크다. 여기에 의미를 덧붙인다면 이 자료들이 대부분 우리 선조들의 삶의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생산된 것들이라는 점이다. 그래서 그 안에는 수없이 많은 사람이 만들어낸 다채로운 삶의 조각들이 스며 있다. 물리적 형태의 측면에서 간행연대 등 희소성의 가치가 높은 자료들도 다량 보유하고 있지만, 대대손손 물려주고 보관하며 보존의 역사를 담고 있는 자료들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선조의 기록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그것을 다듬고 간직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영역들도 우리가 간과할 수 없는 역사이자 문화이기 때문이다. 눈에 보이는 것을 넘어 그 속에 담긴 이야기를 펼쳐낼 때 전통 기록유산이 가진 힘을 제대로 전달할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이 발달하면서 최첨단 전시 기법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관객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은 결국 기술이 아닌 ‘사람의 이야기’라는 것을 끝까지 기억하겠다.

-올해 남은 전시 계획은 무엇인가.

△한글날이 다가오면서 본원의 한글 자료 전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경북도청에서 열리는 한글 주간 행사에서 주요 유물 일부를 전시하고, 10월 30일부터 11월 1일까지 국회의원회관 제2로비에서도 경북의 한글 자료를 전시할 예정이다. 또한, 독립운동가 홍와 이두훈의 문중에서 기탁한 자료를 중심으로 기탁 문중 특별전을 계획하고 있다. 전시 개막은 11월 7일이다. 2024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응시하는 수험생들을 응원하기 위해 과거시험의 이야기를 담은 작은 전시도 계획하고 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