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김남일 ‘한국 근대문학 기행’ 4부작 출간

한국 근대 문학 기행 김남일 지음·학고재 펴냄

우리 문학의 무대로서 뚜렷한 아우라를 지닌 근대 문학의 ‘장소들’, 그리고 지난날 우리가 꾸었던 ‘꿈’ 한국의 근대 문학이 움튼 서울, 조선의 무수한 청년들이 청운의 꿈을 안고 건너갔던 도쿄, 그리고 휴전선 너머 압록강과 두만강, 개마고원과 백두산까지 이어지는 우리 작가들의 생생한 숨결이 뜨거운 발자취….

폭넓은 독서와 여행으로 유명한 소설가 김남일(66)이 최근 ‘한국 근대 문학 기행’(학고재)이라는 담대한 기획으로 ‘서울 이야기’, ‘평안도 이야기’, ‘함경도 이야기’, ‘도쿄 이야기’ 4부작을 펴냈다.

‘어제 그곳 오늘 여기’(2020)를 통해 아시아의 근대 문학 작품을 지도 삼아 서울과 도쿄, 교토와 오키나와, 사이공과 하노이, 상하이와 타이베이를 가로지른 데 이어 이번에는 뚝심 있는 발걸음을 우리 땅으로 옮겨 오롯이 한국의 근대 문학에 집중했다. 한국 문학의 근대를 이룬 작가들이 미처 당혹감을 떨치지 못하던 시대, 그 시절 문학의 바탕이 되고 뿌리가 된 분단 이전의 우리 땅이 대장정의 출발지이자 목적지가 됐다.

40년 넘게 소설을 써온 김남일은 “등단 이래로 수많은 외국 작품들을 읽어왔으면서도 정작 우리 문학은 중고등학교 시절 교과서에서 배운 것들 말고는 딱히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 읽은 기억이 없다”고 반성한다. ‘한국 근대 문학 기행 4부작’을 기획하게 된 배경이다. 이 시리즈는 한국의 근대 문학이 어디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지, 어떤 얼굴을 하고 있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춘다. 처음부터 딱딱한 문학사론의 틀을 배제하고 ‘문학 기행’이라는 형식을 채택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오래전 문학 작품을 좌표 삼아 소설 속 도시와 촌락, 산과 들을 되짚으며 그 장면 장면에 담긴 ‘사람’과 ‘삶’을 들여다보기로 작정한 만큼, 이 방대한 ‘한국 근대 문학 기행’ 역시 소설처럼 읽는 가운데서 저절로 한국 문학사의 큰 줄기를 그릴 수 있는 ‘이야기’가 되도록 의도한 것이다.

김남일은 오래전 작가들이 풀어놓은 글줄을 속속들이 곱씹는다. 그러고는 주먹만 한 눈송이가 하늘을 채우던 북방의 눈 내리던 밤 풍경부터 함흥과 제주에서 온 유학생이 뒤섞인 서울의 교실 풍경까지 생생하게 우리 눈앞으로 옮겨놓는다. 반세기 넘는 시공간을 훌쩍 뛰어넘은 저자는 고정된 풍경화로 그칠 뻔한 장면들을 유려하게 살아 움직이는 동영상으로 되살려냈다.

지도에서 사라진 길, 마음마저 멀어져 쉬이 갈 수 없는 곳, 그 길을 안내하는 소설가 김남일이 글로 그린 근대 풍경 ‘한국 근대 문학 기행’은 한국 근대 문학의 출발지이자 보고인 서울에서 시작한다. ‘서울 이야기’는 ‘서울’이라는 공간을 화두로 박태원, 염상섭, 채만식, 김남천, 윤동주, 유진오, 이광수 등 근대 문인의 삶과 문학을 둘러싼 풍성한 일화를 소개한다. 김남일의 풍부한 문학사적 지식, 근대와 고투한 문인들에 대한 깊은 애정, 남다른 인문적 식견, 인간과 시대를 바라보는 곡진한 마음을 깔고 덮으며 신선한 자극과 배움을 얻는 즐거운 독서가 그 안에서 펼쳐진다.(권성우 문학평론가, 숙명여대 교수)

‘평안도 이야기’는 진달래꽃 피고 지던 소월의 영변 약산, 이효석이 서국주의(西國主義)의 꿈을 키웠던 평양의 푸른 집, 김남천이 벗들과 술 마시던 성천의 눈 내리던 밤 풍경…. 이제는 갈 수 없는 휴전선 너머 우리 땅과 우리 문학 이야기 등 평안도 사람들과 문학에 관한 진귀한 이야기를 펼쳐내고 있다.(방민호 문학평론가, 서울대 교수)

‘함경도 이야기’는 문학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와 문화지리를 망라한 두터운 독서를 바탕으로 함경도를 재해석해냈다.(고명철 문학평론가, 광운대 교수)

김남일 소설가
김남일 소설가

죄인처럼 수그리고 코끼리처럼 말이 없던 이용악의 두만강, 아직 철저한 민족주의자이던 시절 육당 최남선이 벅찬 가슴으로 올랐던 백두산, 그러나 지금은 우리 눈에서 아득히 멀어진 ‘북방’의 문학사적 복원이다.

‘도쿄 이야기’는 나쓰메 소세키, 루쉰, 홍명희와 이광수. 메이지 유신 이후 동아시아의 제도(帝都)를 꿈꾸던 도쿄에서 동아시아의 다른 작가들과 함께 호흡을 나누던 한국 근대 문학 작가들의 뒷모습을 숨김없이 찾아간다.

김남일은 1983년부터 작품 활동을 시작해 전태일문학상, 아름다운작가상, 제비꽃문학상 등을 수상하고 권정생 창작기금을 받았다. ‘베트남을 이해하려는 젊은 작가들의 모임’을 만들었고, ‘한국과 팔레스타인을 잇는 다리’, ‘아시아문화네트워크’ 등에서 활동했다. 현재 동료 작가들과 함께 소모임 ‘아시아의 근대를 읽는 시간’을 꾸려가고 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