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우 경북도지사 취임 이후 농촌에 뿌리를 내리는 청년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고향소멸’을 막아낼 수도 있겠다는 희망을 가지게 된다. 민선 7기가 출범한 2018년부터 현재까지 경북도에서 ‘후계 농업경영인’으로 선정된 사람은 1천848명으로 민선 6기 4년간 선정된 1천288명 보다 43.5% 늘었다. 40년 전인 1981년부터 정부차원에서 진행된 이 사업이 최근 들어 성과를 내고 있는 것이다.

경북도에서 올해 뽑은 후계 농업경영인은 493명으로 이 중 39세 이하 청년들이 303명이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숫자다. 경북도는 후계 농업경영인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해 전문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다양한 지원사업도 마련해 준다. 그렇게 많은 수는 아니지만 지금 추세대로 꾸준히 농촌 청년들이 뿌리를 내려주기만 한다면 농촌붕괴를 막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김종수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이 “농촌에서 다시 아이들이 뛰어놀 수 있게 하겠다”고 한 말이 감동적으로 들린다.

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는 오래전부터 농촌소멸을 막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지만, 날이 갈수록 농촌인구는 줄어들고 있고, 고령화도 걷잡을 수 없는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1980년 1천82만명이던 농가 인구는 2005년 343만명을 거쳐 이제 200만명 밑으로 떨어지기 직전이다. 우리나라는 농민들이 허리가 휘도록 농사짓고, 소 팔고 논 팔아서 자식을 교육시켰다. 지금 세계 유수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것도 그 원동력은 농민들의 피와 땀이다. 지금처럼 농촌 빈집이 늘고 전답이 황폐화하면 그동안 다져놓은 농업기반이 한순간에 무너질 수 있다. 그래서 일각에서는 농촌 주민 모두에게 기본소득을 주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는 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후계 농업경영인사업은 모든 자원의 수도권 독식과 농산물 산업 위축, 농가인구 감소, 고령화 등을 막아 농촌의 르네상스를 꿈꾸게 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대안으로 보인다.

경북도가 이 사업을 성공적으로 유지해 대한민국 농촌부활의 모델을 제시하길 기대한다. 정부는 농업분야의 청년 취업자가 앞으로 안정적으로 정착해 나갈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