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신 안치부에 철기로 가득 채운 구어리 1호묘(좌)와 황성동 제철 유적의 용해로와 유물(우). 본문에서도 언급되듯 삼한 사회가 성장의 절정을 이룬 무렵엔 목관묘를 대신해 목곽묘가 보편적 무덤 구조로 사용됐다. 그랬기에 넓어진 부장 공간에 훨씬 많고 희귀한 유물들을 함께 묻을 수 있었다. 이는 풍족해진 경제적 기반이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시신 안치부에 철기로 가득 채운 구어리 1호묘(좌)와 황성동 제철 유적의 용해로와 유물(우). 본문에서도 언급되듯 삼한 사회가 성장의 절정을 이룬 무렵엔 목관묘를 대신해 목곽묘가 보편적 무덤 구조로 사용됐다. 그랬기에 넓어진 부장 공간에 훨씬 많고 희귀한 유물들을 함께 묻을 수 있었다. 이는 풍족해진 경제적 기반이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 삼국지(위촉오 삼국사, 184~280년)는 모르는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로 유명한 역사다. 역사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조조, 유비, 손권이 세운 삼국뿐만 아니라 혜성같이 잠깐 스쳐 지나간 여러 나라와 인물들도 대부분 기억할지도 모른다.

그런데 위나라가 낙랑군, 대방군을 통해 삼한의 여러 국들에게 인수(관직이 표시된 도장과 끈 장식)를 전해줬다거나 교역 대상을 임의로 바꾼 탓에 전쟁이 벌어졌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지금 말하는 기록은 역사 소설인 ‘삼국지연의’를 얘기하는 것이 아니다. 정사 기록 ‘삼국지’에 실려 있는 같은 시대 우리나라 역사이다.

사로국이 건립된 지 200여 년이 지날 무렵부터 동북아시아의 정세는 다시 요동치기 시작했다. ‘한, 예가 강성해져서 군현이 능히 통제하지 못하자 백성들이 삼한으로 이탈해 나간다.’ 위 기사는 중국 후한 말기(147~189년)의 기록으로 혼란스러운 중국의 상황과 사로국을 포함한 삼한 사회의 성장을 전해준다.

이 시기부터 삼한 사회에서는 ‘목관묘’(널무덤)를 대신해 ‘목곽묘’(덧널무덤)를 무덤 구조로 채용하여 넓어진 부장 공간에 훨씬 많고 희귀한 유물들을 매납한다.

이전 시기보다 풍족해진 경제적 기반이 무덤 구조에 반영되고, 사회 전반적으로 부(富)를 과시하는 현상이 유행할 만큼 당시의 상황이 변했던 것이다.

급변하는 상황 속에서 사로국은 또 다른 과감한 선택을 감행한다.

진한 교역망에서 낙랑군, 대방군으로부터 선진 문물을 입수하는 비중을 줄이는 대신, 사로국 브랜드의 철기 제품을 주변 국들에게 집중적으로 유통하면서 빠져나올 수 없는 소비 구조를 구축해 나간 것이다.

이런 조치는 교통망에 유리한 자연적 조건과 흔들리지 않는 진한 맹주국의 사회적 지위가 뒷받침된 결과였다. 진한 연맹체에서 사로국을 통하지 않고서는 동해안 해로와 내륙 육로를 이용할 수 없었고, 의존적인 철 공급 시장에서 특화된 철기로 패권을 장악한 사로국에게 반기를 들 수 없었다.

최근, 가야가 철의 왕국이라고 선전되지만, 그 원조는 사로국이라 할 수 있다.

사로국은 영역 경계에 있던 달천 광산으로부터 원료를 공급받고, 중심지 주변의 황성동 유적 등지에서 철기를 생산했다.

한반도 남부에서 대규모로 손꼽히는 철광석 산지가 사로국 수중에 있었으며, 발달된 제철 기술과 전문적 운영 시스템도 갖췄다고 볼 수 있었다.

발굴 조사된 황성동 유적은 요즘으로 치면 포스코의 1차 하청 업체로 추정되는데 고도로 전문화되고 분업화된 구조로서 대량 생산에 적합하도록 설계됐다.

시간이 흘러, 사로국의 철은 실용적 용도와 경제적 가치를 넘어 사회 통합의 상징으로 활용되기에 이른다.

사로국으로부터 철을 공급받는 주변국들은 점차 무덤 구조와 장례 절차를 사로국의 기준에 맞추게 된다.

장기명<br>​​​​​​​학예연구사
장기명
학예연구사

당시 특징적인 사로국의 장례 풍습은 시신이 안치되는 목관 바닥에 철창을 비롯한 다양한 철기들을 빈틈없이 배치하는 것이었다. 이런 장례 의식은 유례없이 많은 철기가 요구됐음에도 주변국의 상류 사회에서 경쟁적으로 채택되고 공유된다.

사실, 철기를 과소비하는 사회 현상은 우연한 유행이라기보다 주변국들을 ‘신라’라는 영역 국가로 통합하기 위해 기획된 노림수의 결과였다. 사로국은 진한 연맹체의 맹주로서 주변 들과 힘의 우열 차이는 뚜렷했지만, 기존 질서를 무시한 급진적 무력 복속을 택하지 않았다. 주변국들이 오랫동안 유지한 독립적, 자치적인 내부 구조를 단기간에 깨뜨릴 수 없다는 것은 불 보듯 뻔했기 때문이다.

대신에 기울어진 진한 교역망을 통해 경제적, 사회적 압박을 가중시키는 한편, 상류 사회가 사로국의 장례 의식을 통해 일반 구성원과 차별되어 내부 분열이 일어나도록 유도했다.

결국, 진한 사회에서는 사로국을 중심으로 ‘철’이 매개된 공동 이데올로기를 이끌어냈고, 경제적 위기에 빠진 주변국들은 내부 분열을 거듭한 채 헤어 나오지 못했다.

설상가상으로 신흥 강국으로 등장한 고구려가 낙랑군, 대방군을 몰아내고 한반도 북부를 장악했다는 국제 소식이 들려왔다. 기존의 무역 체제는 무너졌고, 외부의 위협에 대항하기 위한 내부적 단합이 필요했다. 역사적 순간은 점점 다가왔다. 드디어 사로국이 이끌던 진한 연맹체는 역사 무대 뒤로 퇴장했고, 고대 국가 ‘신라’가 탄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