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태시조시인·서예가
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내일이 새해의 첫 절기인 입춘이다. 여전히 매서운 추위와 성가신 코로나19 감염증의 재확산으로 요원할 것 같은 봄날이 이날부터 서막을 알리게 된다. 동안거에 들었던 풀과 나무들이 움을 준비하고 세상이 동토의 잠에서 서서히 깨어나는 때, 남녘에선 벌써 때이른 홍매화 개화 소식도 있지만 진정한 마음의 봄은 어느 날에나 오려는지 몹시도 기다려진다. 입춘이 되면 농경의례와 기복적(祈福的)인 의미로 입춘방(立春榜)을 대문이나 문설주 등에 붙인다. 춘축(春祝)·입춘서·입춘첩이라고도 하는 입춘방은 한 해의 행운과 건강을 기원하며 봄을 송축하는 글귀다. 주로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 등의 한문을 세로형태의 화선지에 붓으로 쓰지만, 요즘은 순 우리말로 ‘들봄 한볕, 기쁨 가득’ 등의 문구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캘리그래피 서체에 색채를 가미하거나 삽화를 곁들여 다양하게 쓰고 그리기도 한다.

필자는 매년 입춘에 즈음해 입춘첩을 붓으로 써서 이웃과 지인들에게 나눠주고 현관문 입구에 붙이곤 한다. 설날이 다가오면 연하장도 정성껏 써서 함께 전해주곤 했는데, 외곬스러울지 몰라도 그렇게 해온 지 벌써 이십 수년이나 됐다. 그래서 어떤 친구는 해마다 당연한듯이(?) 연하장이나 입춘첩을 기다리기도 하고, 어떤 지인은 연례적으로 받은 연하장을 하나도 버리지 않고 가지런히 간직하고 있다는 소식을 전해오기도 한다. 크게 대수로운 일도 아닌데 주위의 기다림과 소중한 챙김을 생각하고 자락(自樂)으로 삼으며, 지금까지 거르지 않고 쓰고 보내고 나눠왔는지도 모른다.

그러한 습성으로 올해도 어김없이 연하장을 쓰고 입춘첩을 나눴다. 어서 빨리 악질의 코로나 바이러스가 물러가고(疫病消滅), 나라가 태평하고 국민이 편안하며(國泰民安), 만복이 구름처럼 흥해지기를(萬福雲興) 바라는 마음을 차곡차곡 담아 열성을 다해 썼다. 입춘첩은 특히 입춘이 드는 절입시간에 붙여야 적실(適實)하다기에 최소한 입춘 1~2일 전에 전달해줘야 하는 시의성이 있어야 한다. 그렇기에 연하장이나 입춘방을 쓰는 것도 그렇지만 나눠주고 보내주는 것도 만만찮은 일이다. 그러나 친분과 받는 이의 표정을 떠올리면 주저없이 연락을 하거나 우편물로 보내게 된다. 비대면으로 소원해진 때지만 미미한 소통이나마 반가움과 미더움으로 피어날 수 있지 않을까?

입춘이라지만 바로 봄이 시작되는 것은 아니다. 계절의 변화는 기운의 변화이다. 겨울의 찬 기운이 가시지 않았다 하더라도 땅 속에서는 새 생명이 움트고 있으니 봄의 기운이 서서히 온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몇 차례의 꽃샘추위와 잎샘추위가 지나가야 비로소 봄이 오는 것이다. 멀지 않아 오게 될 봄날을 기다리는 것도 새로운 희망의 기운과 다시 시작하는 설레임이 있기 때문이다. 혹독한 추위와 시련의 고통을 이겨낸 뒤에 맞이하는 봄날이 한결 환해지지 않을까 싶다.

봄은 많이 보라고 봄이라 했던가. 이곳저곳 주변을 자세히 바라보면 정말 어느새 조금씩 달라지고 눈에 띄게 보이는 것들이 많다. 풀과 싹이 흙을 간지럽히고 홍매화 등걸에 망울이 맺히듯 차츰 봄날이 부스스 실눈을 뜨며 입춘별곡을 노래하는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