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면역은 집단 내 구성원 상당수가 전염병에 대한 면역을 갖게 되면 집단 전체가 면역을 가진 것과 같은 효과를 보이는 현상이다.

감염이나 예방접종을 통해 이뤄지며, 현재 전세계를 휩쓸고 있는 코로나19의 위협에서 벗어나기 위해 많은 국가가 예방접종을 통해 집단면역을 유도하고 있다.

이 현상은 1923년 영국 맨체스터대의 윌리엄 화이트 토플리 교수, 그레이험 윌슨 교수가 장염균을 이용한 쥐 실험에서 처음 발견했다. 이후 여러 전염성 질환의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대량의 백신 접종을 통한 집단 면역을 유도하는 것이 일반화됐다. 실제로 집단면역은 1977년에 종결된 천연두의 박멸과 다른 질병들의 지역적인 박멸에 유용하게 활용됐다. 집단면역의 목적은 질병 전파를 억제해 방사선요법 등 여러 요인들로 면역성을 잃어 버리게됐거나 면역력이 없는 사람을 보호하는 것이다.

코로나19의 경우 우리나라가 집단면역을 형성하려면 전체 인구의 60∼70%가 접종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개발된 백신은 18세 미만에 대한 접종 계획이 없으므로 국내 18세 이상 인구 4천410만 명 중 80%가 넘는 3천600만 명이 백신을 접종해야 집단면역이 생긴다. 이에 따라 정부는 내년 9월까지 3천600만 명에게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해 집단면역을 완성할 계획이다.

다만 최근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의 계속되는 변이 때문에 백신 접종을 통한 집단면역 달성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어 걱정을 더해준다. 영국과 남아공발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가 풍토병이 돼 인플루엔자(독감)처럼 매년 재유행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어떻든 하루라도 빨리 우리나라에 코로나19 집단면역이 완성돼 코로나19 사태가 완전히 종식되길 바랄 뿐이다. /김진호(서울취재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