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규열 한동대 교수
장규열 한동대 교수

12월은 늘 그랬다. 가까이 어울렸던 사람들과 떠나가는 한 해를 아쉬워하며 모이느라 바빴다. 오래 만나지 못했던 친구들도 새해에는 자주 보자고 한 잔 기울이며 따뜻했다. 망년회와 송년모임이 줄을 이었고, 도시의 불야성은 아쉬움과 희망을 번갈아 목격하였다. 송구영신(送舊迎新)의 뜻을 담았다지만, 왠지 언제나 피곤한 뒤끝을 남기는 연례행사였다. 마음을 가다듬고 보면 새해 첫 달의 절반쯤이 지나고 있었다.

둥둥 뜬 느낌으로 지나가는 한 달. 가까워도 서먹해도 한자리에 모이면 들썩이는 분위기에 해가 저물어가는 한 달. 마지막 한 달은 그래도 되는 줄 알았다. 아니 그래야 한다고도 했다. 이 땅에서 버티려면 겪어야 하는 통과의례였다. 들뜨고 설레며 즐길 만도 했다. 그러는 사이, 마음으로는 가장 가깝다면서 어쩔 수 없이 소외되는 사람들이 있었다. 가족. 연말연시 지치고 피곤한 몸과 마음을 겨우 추스르며 돌아보게 되는 가족. 으레 그곳에 있거니 해서일까 흥분도 기대도 별로 없는 가족. 아니 진짜로 바쁜 사람들은 새해 아침에도 돌아보지 않는 가족. 그랬던 가족과 함께할 기회가 왔다.

코로나19. 모두를 ‘힘들게’ 하는 이 녀석이 희한하게도 ‘선물’도 한 자락 가지고 왔다. 근데 우선, 힘들다. 감염될까 아슬하슬하여 힘들다. 함부로 나다니지 못해서 힘들다. 정겹게 만나지 못하여 힘들다. 동네 가게들 주머니 사정을 생각하면 힘들다. 학교를 가지 못하는 학생들이 힘들다. 맨 앞에 서 있는 의사와 간호사들이 힘들다. 그 틈에 정치가 끼어드는 것도 힘들다. 백신과 치료약은 어디쯤 오는지 살피면서 힘들다. 멀리멀리 떠나고 싶은 역마살이 힘들다. 힘들고 힘들어 코로나19가 얼른 지나갔으면 하지만, 애틋하게 돌아볼 식구들이 있어 따뜻하지 않은가.

우리의 뉴노멀에는 ‘가족’이 들어가야 한다. 밖에서 바쁘다고 안을 돌보지 않았던 공허함을 없애야 한다. 말로는 ‘무슨 영광을 보겠다고’라면서도 한없이 쫓기며 아내와 가족에게 무심했던 과오를 되짚어야 한다. 이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 서야 한다. 코로나19 탓에 아니 덕에 가족과 마주 설 시간이 길어지게 생겼다. 잃어버린 망년회와 송년모임을 투덜거릴 게 아니다. 만나지 못하는 사람들은 이 겨울엔 접었으면 한다. 더 많이 만날 가족들에 집중하는 세모(歲暮)가 되었으면 싶다.

스위스의 사상가 힐티(Carl Hilty)는 ‘바다가 생명을 얻기 위해서 태풍이 몰아쳐야 하는 것처럼 인간이 인간다워지기 위해서는 병의 홍수와 태풍같은 어려움을 이겨내야 한다’고 했다. 인간다운 인간은 누구일까. 저 넓은 밖을 헤아리며 선한 일을 펼치는 인간다움도 귀하지만, 날마다 삶을 나누는 가족과 따뜻한 가슴을 함께 하는 인간다움이 먼저가 아닐까. 병을 통해 인간의 무지와 한계를 깨닫는다면, 이제는 가족과 함께 마음과 생각을 나누는 연말을 누려야 하지 않을까. 2020년의 세모는 가족의 소중함을 새롭게 새기는 따뜻한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코로나19가 지나간 다음에도 가족은 오래오래 남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