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산 절벽 위에 앉아 있는 도덕암. 도덕암은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403-177에 위치해 있다.

도덕암은 해발 702m밖에 되지 않는 도덕산 안에 숨어 있다. 옥산서원과 독락당을 지나 비포장길을 달릴 때도 나는 참나무숲에 일렁이는 바람을 노래할 정도로 여유로웠다. 다시 차가 포장길을 달릴 무렵, 소형차는 진입을 금한다는 안내문이 막아선다. 사륜구동이 아닌 차로 오를 수 있을지 잠시 막막하다.

걸어서 오를 시간적인 여유가 없어 용기를 내기로 했다. 가파른 급경사를 몇 구비 꺾을 동안에도 절은 보이지 않고 식은땀만 흐른다. 수많은 산사를 찾아다녔지만 이토록 험난한 오르막길은 처음이다. 내려오는 차라도 마주치면 난감하다. 담력 테스트를 하듯 진땀을 빼며 아슬아슬 도덕산을 오른다.

드디어 절벽 위에 암자가 보인다. 산그늘에 싸인 오후의 절은 평온하다. 보이는 것이라고는 첩첩 산중, 푸른 생명의 기운만 가득하다. 결코 외롭지 않은 한가로움들, 폭우와 폭염으로 이어졌던 여름의 끝자락이 보인다. 새소리조차 들리지 않는다. 도덕암은 고립이 주는 절경을 홀로 누리고 있었다.

도덕산은 신라 선덕여왕이 찾아왔다하여 두득(덕)산으로 불리다가 조선 중기 회재 이언적에 의해 도덕산으로 바뀐다. 도덕암 역시 정혜사의 부속암자로 신라 경덕왕(742년~765년)에 창건된 천년고찰이다. 국보 제 40호 정혜사지 13층 석탑을 보면 정혜사는 꽤 큰 사찰인 것 같다. 12개의 부속암자 중 유일하게 남아 있는 도덕암, 창건 당시에는 다른 이름이었지만 이언적이 도덕산이라 고쳐 부른 후 도덕암으로 불렸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토록 가파른 곳에서 명맥을 유지해온 암자가 대견하다. 불자들의 정성어린 불심보다 좌선을 위한 몇몇 스님들의 수행처로 이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예나 지금이나 쉽게 들락거릴 수 있는 암자는 아닌 듯하다. 산문도 없이 절은 어떤 격식이나 형식도 거부하며 자유로워 보인다. 오로지 소박함만을 성찰한다.

작은 대웅전과 요사채, 그 뒤로 낡은 공양간도 보이지만 문은 굳게 닫혀 있다. 흔한 석탑 대신 꽃 진 수국 하나 쓸쓸히 대웅전을 지킨다. 스님은 출타 중인 듯하다. 마당에는 키 작은 풀들이 자라고 등받이 없는 나무 벤치 두 개와 네 개의 플라스틱 의자가 일렬로 앉아 그 쓰임을 기다리고 있다. 오랫동안 앉지 않은 의자의 눈빛에서 간간이 외로움이 잡힌다.

가진 것이 많지 않은 암자, 산 그림자도 무료해 성큼성큼 산 아래로 내려가고 작은 감나무 한 그루가 절을 지킨다. 암자는 한없이 몸이 가벼운데 나는 가진 것이 많아 이것저것 생각이 많다. 마당 끝에 서보지만 시선은 더 이상 산을 넘지 못한다. 멀리 몇 개의 고압선 철탑이 보일 뿐 문명의 이기는 한참이나 돌아 앉아 있다. 묵은 티끌들이 쓸려 나가고 몸과 마음이 고요해져 온다.

이곳에서는 모든 존재가 크게 보인다. 뒤늦게 대웅전 법당을 지키는 부처님이 떠오른다. 작은 법당 안의 석가모니 삼존불은 도덕암 풍경보다 더 쓸쓸하다. 낡은 비닐 장판 위에서 좌복 없이 삼배를 드린다. 허리 통증 때문에 스스로 세운 백팔배의 약속을 지키지 못해 씁쓸한데, 가난한 절의 부처님이 큰 품으로 안아 주신다.

법당 문을 죄다 열어놓고 하염없이 앉아 있고 싶다. 겹겹이 펼쳐진 숲과 허공 속에 마음을 싣고 싶다. 주인 없는 빈 절이 가만히 나를 응시한다. 아쉬운 마음으로 법당 문을 닫는다. 법정 스님이 손수 만든 빠삐용이란 이름을 가진 작은 나무의자가 생각난다. 책에서 만났던 빠삐용은 불일암을 찾았을 때, 묵직한 풍경이 되어 주인을 기다리고 있었다.

조낭희 수필가
조낭희 수필가

이곳에도 그런 소박한 나무의자 하나 있으면 좋겠다. 떠오르는 아침 해를 바라보고 해거름 비탈길을 서둘러 내려가는 산 그림자를 배웅할 수 있는 그런 특별한 의자. 그런 무욕의 사치를 즐기고 싶어 스님이 출타할 때마다 나는 암자를 들락거릴지 모른다. 저 긴 벤치에 홀로 앉으면 더 쓸쓸해질 것만 같다.

목탁대사가 새벽 일출을 화두로 삼고 참선하여 득도했다는 산신각 쪽으로 향한다. 편평한 바위가 허공을 안고 새 주인을 기다린다. 산신각 앞으로 펼쳐지는 풍광 앞에서 좌선의 충동이 인다. 나는 잠시 바위 위에 가부좌를 하고 눈을 감는다. 그토록 평온하던 마음이 깊은 산중에 홀로 있음을 상기시킨다. 순식간에 무서움이 엄습한다.

난생 처음 산신각에 들러 삼배까지 올리던 그 여유로움은 어디로 갔는가. 종잡을 수 없는 마음의 정체들과 헛기도로 이어지는 산사 순례, 모든 노력들이 재가 되어 허물어져도 좋다. 산 그림자가 몸집을 부풀리며 돌아갈 시간을 알린다. 막 경내를 벗어나는데 차 한 대가 힘차게 올라온다. 출타 중이던 스님이 열린 창문으로 손을 흔들며 지나가신다.

어떤 스님인지 뵙지 않았지만 기분이 좋다. 도덕암이 버려진 암자가 아니라는 그 사실 하나만으로. 산속 깊은 암자를 홀로 지키는 일, 어쩌면 그 자체가 수행이다. 내려오는 길은 기분 탓인지 한결 쉬웠다. 옥산 저수지를 돌며 하산의 뿌듯함을 즐기는데 몸의 여기저기가 가렵다. 그때서야 밝혀지는 도덕암의 숨은 진실 하나, 그것은 모기보다 더 독한 스님이 계신다는 점이다.

이 시간 모기떼와 사투를 벌일 스님께 뒤늦게 합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