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화진 <br>지킴랩 기업탐정본부장 <br>전 경북지방경찰청장
박화진
영남대 객원교수 · 전 경북지방경찰청장

말장난이 개그소재로 유행한 적이 있다. 썰렁하다면서 은근히 중독성이 있어 너나없이 한마디씩 했던 것 같다. 영어가 원래 우리말이었다는 황당한 주장으로 썰렁 개그 한 번 해보자. 상을 당하면 상주들이 곡(哭)을 한다. 대부분이 ‘아이고’라며 울먹인다. ‘I go’(나는 간다)는 영어 표현이 된다. 저 세상을 떠나는 망자의 말을 연상시킨다. 어느 지역의 말투는 거의 영어다. ‘왔시유’(What see you). ‘인식하다’(acknowledge)는 ‘아이쿠 알지’ 머 이런 식이다. 우리말의 우수성을 설파하며 영어의 기원은 우리말이라며 책을 쓴 사람도 있으니 문화 자존감의 엉뚱한 발상이지만 그리 기분 나쁜 생각은 아닌 것 같다.

비슷한 발상으로 최근 우리 사회 여러 현상을 겪으며 ‘엘리트(elite)’라는 말도 우리말 ‘이리떼’에 어원을 두고 있거나 이웃사촌 쯤 관계가 있는가 싶다. 문헌을 보면 엘리트란 말은 17세기경에는 ‘고급 상품’을 뜻하는 말이었지만, 우월적 사회집단을 뜻하는 말이 되어 사회 각 분야에서 최고의 능력을 나타낸 집단, 어떤 형태든 높이 평가된 사회적 가치를 가진 집단을 엘리트라고 불렀다고 한다. ‘파워 엘리트’,‘ 창조적 소수자’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선택된’이란 뜻의 라틴어 ‘electus’에서 유래되었단다. 엘리트가 지나친 특권과 독점으로 세상의 어두운 그림자를 짙게 드리운 적이 있다. 그러다보니 늘 급진주의자와 무산자의 정치적 타도대상이 되어왔고 지금도 진행 중이다. 하지만 역사 발전에서 엘리트의 역할과 기여를 부정할 수 없는 것 또한 현실이다.

우리 사회 곳곳에서 엘리트 죽이기가 만연되고 있는 것이 아닌지 모르겠다. 교육현장에서 폐해만 부각되어 엘리트 교육이 멸종되어 가고 있는 것 같다. 남보다 우수함을 위한 노력과 땀에 대해 경의와 찬사를 보내기 보다는 배경을 의심하거나 기울어진 운동장, 금수저 논란으로 폄하시키고 있다. 자원이 부족한 나라에서 우수한 인재의 확보와 양성은 최고 회수율을 보이는 투자임에도 하향평준화로 치닫고 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된다. 우리가 내세울만한 세계적 엘리트 기업들도 부도덕과 부패의 상징이 되어 휘둘리고 있다. 엘리트를 죽여서는 미래가 없다. 시민의식이 투철한 건전한 엘리트로 양성해야 한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광기 속에 의사들의 파업으로 나라가 시끄럽다. 밥그릇 작아질까봐 파업을 한다고 몰아친다. 국민건강권을 인질로 잡았다며 반인륜적 범죄행위처럼 프레임을 짜고 있다. 냉정함을 잃지 말아야 한다. 법률서비스의 특권을 깨겠다며 도입한 로스쿨이 오히려 사다리를 걷어찬 결과로 나타나고 있지 않은가! 더 좋은 의료혜택을 주는 정책이라는 주장에 앞서 질 저하를 우려하는 젊은 의사들의 쉰 목소리를 외면하지 말았으면 한다. 그들을 떼로 몰려다니며 건강권을 뜯어먹는 이리떼로 여기지 말아야 한다. 엘리트들이 오히려 진짜 이리떼에게 뜯어 먹히는 지경이 될 수 있다. 정치, 경제, 문화, 교육, 체육 등 엘리트들을 사납게 뜯어 먹은 이리떼들이 결국 먹을 것이 없어 서로 뜯어먹는 세상이 올지 모른다. 그 땐 토끼만 더 떨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