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래<br /><br />시조시인<br /><br />
김병래

시조시인
 

지구의 공전속도에다 태양의 공전속도를 합하면 초속 250km 가까이 된다고 한다. 이는 음속(音速)의 700배가 넘는다. 총알의 속도가 소총의 경우 초속 0.6~1km 정도라니 지구가 얼마나 빠른 속도로 우주공간을 날아가고 있는지 상상하기도 어렵다. 아무튼 우리 모두는 총알보다도 수백 배나 빠른 행성을 타고 광대무변의 우주를 여행하고 있는 셈이다. 팔십 년을 산다고 하면 대략 6천300억km를 여행하는 것인데, 도무지 가늠조차 안 되는 이런 엄청난 사실을 우리는 까맣게 잊고 사는 것이다.

“…. 총알의 수백 배나 쾌속으로 날아서/ 소실점 까마득하게 사라져 가는 지구// 광대무변 우주의 티끌에 불과한 것을/ 무엇이 그리도 대단하고 절박해서/ 폭약을 몸에 두르고 자폭도 서슴지 않는가// 막히고 닫힌 세상 답답하고 울적할 땐/ 밤하늘 별을 보며 우주여행을 떠나자// 음속의 수백 배 빠른 지구호 우주선 타고” - 졸시 ‘우주여행’

노년에 접어든 지금까지 나는 한 번도 한반도의 남쪽을 벗어나 본 적이 없다. 당연히 비행기나 여객선을 타보지도 않았고, 유람선을 타고 가까운 섬에도 가본 적이 없다. 글로벌시대에 골동품이라는 소리를 들으면서도 다른 나라에 가보고 싶은 생각이 별로 없는 것은 아마도 시시각각 우주여행을 하기 때문인가 보다. 전에는 외국에 대한 궁금증이 없지 않았지만 지금은 텔레비전과 인터넷이 상세하게 다 보여주니 그것도 해결이 되었다. 하기야 칸트나 스피노자 같은 철학자는 여행을 거의 하지 않고도 방대한 철학체계를 완성하였다지 않는가. 일찍이 우주의 이치를 꿰뚫은 노자 역시 닭 우는 소리가 들리는 거리에 이웃나라가 있어도 구태여 갈 필요가 없다고 했으니, 과연 ‘집 밖에 나가지 않아도 천하를 안다’ 할 것이다.

얼마 전에 지구본을 하나 구입했다. 큰 수박덩어리 만한 지구 모형 한쪽 귀퉁이에 한반도는 손톱 만하게 붙어있다. 그 동남쪽의 한 지점에 앉아서 지구본을 빙글빙글 돌리며 들여다보고 있노라면, 나는 동시에 멀리 성층권으로 나가서 이 세상을 조감(鳥瞰)하는 전지적시점이 된다. 당장 코를 박고 있는 사회 현실에서 눈을 돌리면 광대무변의 우주가 펼쳐져 있고, 나는 그 속을 쾌속으로 날아가는 우주적 존재가 되는 것이다. 우리는 누구나 우주의 일부이므로 마음을 열면 세상을 직관하고 통찰하는 일도 불가능하지 않을 거란 생각이다.

너무 거창해서 황당한 얘기로 들릴 수도 있겠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이 행성이 우주의 티끌인 동시에 우리 모두가 우주적 존재라는 인식은 에고(ego)의 질곡으로부터 마음을 열어주는 단초가 된다. 대자연과 소통하는 호연지기(浩然之氣)도 그런 인식에서 비롯되는 것일 터이다. 평생을 나름으로 열심히 살았다는 사람들이 왜 스스로 목숨을 끊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되는지, 그들이 내세우고 지향했던 대의명분이 과연 무엇이었는지, 손바닥처럼 들여다보는 혜안과 통찰도 길러야 하지 않겠는가. 눈을 들어 하늘을 보자. 지금 이 순간 우리는 총알보다도 수백 배나 빠른 속도로 미지의 우주를 향해 날아가고 있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