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통합신공항 이전부지 선정을 위한 중재안이 군위군과 의성군에 전달됐다. 지역사회의 합의를 이끌 마지막 카드가 두 자치단체 손으로 넘어간 셈이다. 두 자치단체가 대구경북 발전을 위한 대승적 판단을 해야만 통합신공항 이전지가 최종 결정될 수 있는 단계까지 도달한 것이다.

국방부와 대구시, 경북도가 함께 마련한 중재안은 통합신공항 최종 이전지로 공동후보지(의성비안 군위소보)가 선정될 경우 군위 쪽에다 민간공항 터미널, 공항IC와 공항 진입로, 군인가족 아파트(영외관사), 공무원 연수시설 등을 짓기로 했다. 또 경북도가 조성하는 총사업비 1조원 규모 항공 클러스트(공항신도시) 가운데 절반인 330만㎡를 군위에 배정한다는 내용도 담고 있다.

누가 보더라도 단독후보지(군위 우보)에 탈락한 군위 쪽을 배려한 인센티브가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오히려 의성 쪽의 반발이 우려되는 측면도 있다.

이제는 두 지자체가 수용안을 받아들이느냐가 관건이다. 국방부는 26일 이전부지 실무위원회와 7월 중 선정위를 열어 두 지자체가 결정한 내용을 중심으로 이전지 선정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단독후보지만을 고집해온 군위군은 통합공항 사업이 무산되는 한이 있더라도 공동후보지는 안 된다는 여론이 아직 강하다고 한다.

의성군도 다 퍼주기식 합의라며 반발 기류가 있어 이번 중재안의 수용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고 한다.

통합신공항 이전 사업은 지역사회가 4년간 공들여온 지역 미래를 위한 최고의 투자 프로젝트다. 대구경북민의 먹거리와 미래를 위한 투자로서 경제적 가치는 무한대라 할 수 있다. 두 자치단체 합의에 대구시민과 경북도민이 주목하고 있는 것은 공항건설이 그 이상의 투자가치가 있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두 자치단체의 대승적 판단이 요구되는 매우 중대한 시점이다. 대구와 경북이 상생의 길을 가는데 두 자치단체의 극적 합의가 주는 효과도 적지 않을 것이다. 만약 두 자치단체가 합의점을 찾지 못한다면 불가피하게 재추진 카드가 등장할 수밖에 없다. 이전이 무산될 경우 희망하는 자치단체도 있다고 하니 대안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또다른 공방과 시간의 낭비가 있을 것이다. 상생을 위한 두 단체의 합의가 최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