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쪼그러드는 상황서 공동체 지향하는 통합만이 유일 돌파구
근대화 상징이던 지역이 경제 곤두박질치며 장기 침체의 늪으로
글로벌 환경 변화 대응 위해서도 지속가능한 발전방안 고민해야

대한민국 근대화의 심장이었던 대구·경북이 2000년 이후 지역 대기업의 수도권 및 해외 투자 증가에 따른 역외 유출 심화로 지역 경제가 끝없이 바닥으로 곤두박질치고 있다. 2002년 (주)LG필립스 파주 이전, 2007년 삼성 및 LG전자 수원 및 평택, 베트남 이전 등으로 일자리가 줄어들고 생산성도 떨어지는 등 위기에 직면해 있다. 새로운 활로를 찾지 못한다면 대구·경북은 공멸할 수밖에 없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이 때문에 지역에서는 지속 가능한 발전방안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공동체 의식이 주목을 받고 있다. 공동체 의식은 한 사회에 함께하고 있다는 생각과 감정으로 국가와 사회 등 공동체의 문제 해결에 함께 참여하려는 의식으로 정의하고 있다. 참된 마음으로 다른 사람의 입장을 헤아려서 배려하는 정신, 상대에 대한 인격적 존중의 정신도 함축하고 있다.

대구 경북은 최근 코로나 감염병 사태로 헤쳐나왔다. 대구 경북의 코로나 성공 사례는 전세계적으로 K-방역이란 명성을 얻었다. 이같은 방역 성과로 국내외 학자들은 ‘공동체 의식’이라고 진단했다. 대구 경북의 미래는 바로 ‘공동체 의식’에서 해답을 찾아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대구경북은 현재 통합 공동체에 대한 활발한 논의를 시작했다. 대구경북통합은 2001년 이의근 당시 경북도지사가 주장했지만 당시 경북도의 일방적인 발표로 오히려 대구시민들의 반발을 사며 제대로 된 결과를 내지 못하는 등 이미 해묵은 이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수도권에 인구와 산업, 금융이 몰리면서 2018년 처음으로 수도권 GRDP가 50,1%로 역전현상이 발생하는 등 수도권 블랙 현상이 심화되는 반면 지방은 갈수록 쪼그라 들고 있다. 1985년 지역내총생산(GRDP)이 대구·경북은 전국 비중에서 각각 4.3%, 7.5%였지만, 2018년에는 2.98%와 5.73%로 급락했다. 반면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은 1985년 43.9%에서 2018년 51.8%로 늘었다. 이 같은 현상은 수도권이 비대할수록 더욱 더 격차가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처럼 대구·경북은 오랫동안 침체되는 추세를 보이자 더 이상 방관할 수만은 없다는 분위기가 고조됐다. 이에 최근에는 돌파구를 마련해야 한다는 여론이 거세지면서 대구경북통합이 힘을 실리고 있다. 대구·경북이 통합하면 인구는 511만여명으로 총인구의 9.9%, 면적은 1만9천916㎢로 전체 국토의 19.8%, GRDP 165조7천억원으로 전국의 8.7%를 차지하게 된다. 면적은 전국 1위, 인구·GRDP는 경기·서울에 이어 3위, 수출액은 5위를 차지해 수도권을 제외하면 규모면에서는 사실상 대한민국 제2의 수도가 되는 것이다.

대구경북통합은 대구와 경북을 합쳐 대구경북특별자치도를 만드는, 단순한 통합이 아니다. 국가간의 경쟁에서 도시간의 경쟁으로 변화하고 있는 글로벌 환경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갈수록 비대해지는 수도권에 대응해 지역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절박한 몸부림이다. 중복 투자가 됐던 대구와 경북의 투자를 특성에 맞게 효율적으로 조정해 지역 내 부가가치를 높여 수도권에 버금하는 하나의 광역권으로 만들고 세계적인 도시와 당당하게 경쟁을 하기 위해서는 대구경북통합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구경북통합을 위한 비전과 전략은 물론 세 가지 핵심요소는 지방정부·자치권·자치구역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시·도민의 의사가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 갈수록 침체하고 있는 지역을 새롭게 발전시키고 이를 지속 가능한 대안이 대구경북통합임을 지역민이 인식하고 구체적인 통합대안을 충분히 이해해야 시·도민의 동의를 구할 수 있다.

경북매일신문은 창간 30주년을 맞아 대구경북통합의 길을 찾아 나선다. 지역이 침체기를 벗어나 새롭게 발전할 수 있기는 기대하면서 향후 통합 필요성과 방향성과 향후 과정,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제시한다.

/이곤영기자 lgy1964@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