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청은 눈먼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고픈 마음에 쌀 삼백석에 몸을 판다. 끝내 인당수에 몸을 던졌지만 그의 지극한 효심에 감복한 용왕은 그녀를 사람으로 다시 환생케 한다. 효를 주제로 한 우리나라 대표적 고전소설인 심청전의 한 토막이다.

부모를 위한 자녀의 효심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다르지 않다. 부모에 대한 효도는 부모가 살아 계실 때 하는 것이 도리라는 생각으로 부모님의 날이 별도 정해져 있다.

각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어버이날, 어머니날, 아버지날 등이 지정돼 있다. 이날만큼은 부모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그 정신을 기리자는 뜻이다.

미국은 5월 둘째 주 일요일을 어머니날로 정했다. 아버지날은 6월 세번째 일요일로 따라 정하고 있다. 특히 어머니날은 전 세계 100군데가 넘는 나라에서 여러 가지 형식으로 기념일을 보내고 있다.

우리나라도 1956년 5월 8일을 어머니날로 지정했다가 아버지날을 정하자는 여론이 나오면서 1973년부터 어버이날로 변경 운영되고 있다. 이날은 어버이 은혜에 감사하고 경로효친의 전통적 미덕을 기리는 날이다.

산업화, 도시화, 핵가족화 등으로 고전적 가족 분위기가 많이 퇴색돼 가고 있다. 그렇다고 부모를 섬기고 존경하는 미덕이 달라진 것은 아니다.

다만 시대의 변화에 따라 부모님을 자식이 꼭 모시고 살아야 한다는 고정관념에는 변화가 생긴 것 같다. 보건사회연구원 조사에 의하면 “부모를 모실 책임이 자녀에게 있다”는 물음에 반대가 찬성보다 월등히 많았다. 부모가 나이가 들면 자녀가 모셔야 한다는 전통적 가치관이 바뀌고 있다는 반증이다. 부모를 모시고 사는 것이 효의 기준인 시대는 이미 끝났다. 어버이날에 즈음해 생각해 본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