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온라인 등교가 오늘부터 시작됐다. 지난 9일 중고교 3학년을 대상으로 시작한 온라인 개학에 이어 16일은 중고 1, 2학년과 초등 4∼6학년이 온라인 개학을 한다.

1차 온라인 개학 대상은 86만명이었으나 오늘 시작되는 2차 온라인 개학 대상은 312만명을 넘는다. 4배나 많은 학생이 동시에 온라인 수업에 들어 갈 경우 혼란의 문제는 없을지 학부모의 걱정이 많다.

1차 온라인 수업과정에서도 원격 학습관리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가 생겨 혼선을 빚은 바 있다. 400만명의 학생이 동시에 온라인 수업을 했을 경우 현재의 서버가 감당할 수 있을지, 학습효과는 어떨지 의문을 갖는 것은 학부모로서는 당연하다.

교육부 등 교육당국은 서버 보완 등 개선책을 마련했다고 밝히고 있으나 400만명이 동시에 원격수업을 해본 경험이 한 번도 없어 기기적인 면에서의 불안감은 완전 해소되지 않는다. 1차 온라인 수업을 통해 온라인 수업의 대강의 문제점은 당국도 파악하고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라는 불가피한 이유로 온라인 수업을 벌이고 있으나 시행착오를 줄여가는 것은 교육당국의 몫이다.

온라인 수업은 대면 수업과는 달리 학습의 환경이 질적으로 다르다. 학습효과도 아직은 미지수다. 길게는 온라인만으로 7∼8시간 수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학습 집중도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 맞벌이 부부의 자녀와 취약계층 자녀 대책 등도 쉽게 해결될 문제는 아니다.

그러나 불가피한 사정으로 시작한 온라인 수업도 교육과정의 일부다. 학습효과를 올리고 온라인 수업의 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한다. 우선은 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부작용과 혼란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시행착오로 초기 대응이 다소 미흡할 수 있으나 “당국이 미숙했다”는 소리를 자주 들어서는 안 된다.

코로나 신규 확진자 발생이 안정세다. 일부에선 등교학습을 꺼내고 있으나 싱가포르의 예처럼 예기치 못한 집단감염의 우려가 아직은 상존한다. 당국의 신중한 선택이 필요한 시기다.

대규모 온라인 수업은 처음 시도하지만 대면교육에 반대 개념으로 우리 자녀들에게는 새로운 미래형 교육의 한 형태로 자리를 잡을 수도 있다. 교육계의 노력으로 온라인 수업이 안착할 전기를 맞는다면 온라인 수업의 긍정적 변화도 기대해 볼 만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