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은 눈이 내 얼굴을
안태운 지음
민음사 펴냄·시집

`제35회 김수영 문학상`수상 시집`감은 눈이 내 얼굴을`(민음사)이 출간됐다.

2014년 `문예중앙`신인상으로 등단한 안태운 시인의 첫 시집이다. 액체처럼 유연하게 읽히는 문장들과 그 문장으로 짜여진 시집 전체가 지니는 견고함이 상반된 놀라움을 선사하는 시집`감은 눈이 내 얼굴을`은 첫 시부터 마지막 시까지 막힘없이 고요하게 흐르는 물줄기 같다. 문장은 정련됐고 이미지는 선명하며 구성은 빈틈이 없다. 안태운의 시는 수면 위의 잔잔함과 수면 아래 깊은 곳에서 꿈틀거리는 에너지를 포괄한다. 수면 아래가 궁금해 자꾸만 그 물속을 들여다보게 하는 힘, 그것이 시인 안태운이 보여 주는 그의 `첫` 세계다.

“ 그는 안에 있고 안이 좋고 그러나 안으로 빛이 들면 안개가 새나간다는 심상이 생겨나고 그러니 밖으로 나가자 비는 내리고

(….)

얼굴의 물 안으로

얼굴의 물 밖으로

비는 계속 내리고 물은 차오르고 얼굴은 씻겨나가 이제 보이지 않고”-`얼굴의 물`에서

물의 이미지는 안태운 시집 전반에 걸쳐 `비`, `눈물`, `파도`, `탕` 등으로 다양하게 변주돼 나타난다. `비`로 내리는 물은 구분된 경계를 무화(無化)시키는 존재다. `안`과 `밖`의 경계는 그로 인해 구분지어진 이들에게 자리를 지정한다는 점에서 인식을 고정시키고 안주하도록 만든다. 안태운의 시에서 모든 곳에 내리고 차오르는 비는 `나의 현실과 타인의 현실`, `내부의 내면세계와 외부의 현실세계`와 같은 구분이 세계에 대한 상투적인 이해에 불과했음을 깨닫게 한다. 비는 서 있는 자리에 그어져 있던 경계를 지우고, `나`를 다른 자리로 옮겨 놓다가, 결국은 `나`마저 지워 버린다. 비에 씻겨 나가 `보이지 않는 얼굴`(「얼굴의 물」)은 그 자체로 질문이 된다. 나라고 믿던 내가 지워진 이후, 무엇을 담을 수 있는가. 흐르는 물이 안팎을 허물어 버린 자리에서 이전에 볼 수 없던 생경한 것을 보는 것, 시인은 이 낯설고 불편한 기회를 권한다.

“바라는 사람들 곁에서 네가 낳기로 하고 낳게 될 때까지 기다리고

나는 사람들 곁에 없었다

(….)

그런가 하면 사람들은 이내 그것을 그치고 너를 돌아보고 있다 수를 세면서

너는 낳기로 하고 그러므로 여덟을 낳고 낳은 후 누워서 바라고 있다 너는 내 얼굴을 찾고 있나 그러나 찾지 못했지 나는 사람들이 되어 울고 있었지”-`낳고`에서

흐려진 경계 위에 등장하는 안태운 시의 인물들은 서로 자리를 바꾸며 관계를 분열시킨다. `너는 내 얼굴을 찾고 있나 그러나 찾지 못했지`(`낳고`) 라는 고백은 `너`와 `나`의 구도를 가늠하지 못하게 한다. `네`가 `부서져 나간 자리에 내 몸을 이어 붙인다.`(`원경`)는 진술은 `나`와 `네`가 일치하는 지경에 이르는 이미지를 보여 준다. 안태운의 시는 우리가 알고 있다고 믿었던 구도를 전복시키며 묻는다. 나는 누구고, 어디에 있는가. 시 속에서 `너`와 `내`가 일치한 것과 같이 독자는 시인이 건넨 질문을 제 것처럼 여기게 된다. 읽는 자와 쓰는 자의 자리도 어느덧 희미해지는 것이다. 시인은 지난한 세계에 대한 질문과 함께 새로운 읽기를 가능케 한다.

/윤희정기자

    윤희정기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