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기웅<br /><br />경북도청본사
▲ 권기웅 경북도청본사
경기, 충남북, 전남, 강원 등지에서 조류 인플루엔자(AI)가 발생하거나, 의심신고가 접수돼 131만 마리의 닭과 오리가 살처분되면서 방역망을 뚫은 AI가 맹위를 떨치고 있다.

이미 발생한 지역은 더 이상의 전염을 막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고, 아직까지 AI가 발생하지 않은 지역은 최고 단계 방역대책을 세워 대응에 나서고 있다.

경남도의 경우 위기경보가 `경계` 단계지만 AI 확산 속도가 심상치 않은 점 등에 대비해 `심각` 단계의 방역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경남도는 AI 기동방역기구를 편성하는 한편 시·군, 축산진흥연구소, 군부대·경찰 등과 협조체계를 구축했다. 특히 경남도는 축산차량에 의한 AI 유입 차단을 위해 기존 거점소독시설 6곳을 각 시·군별 1곳으로 확대해 총 27곳을 운영, 도내 모든 가금류 축산차량에 대한 대대적인 소독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경북도는 느긋하다. 충북과 전남 등지에서 AI가 발생해 비상임에도 연례적으로 하던 방역에 그친 데 이어 예방적 차원의 방역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이어지자 그제야 거점소독시설 설치에 나섰다. 이마저도 위기경보에 맞춘 피동적 방역강화인데다 상주, 김천, 영주, 문경 4곳에만 설치해 재난을 미리 대비하는 경남도와 비교되는 모습이다.

지난 28일 경주에 거점소독시설을 추가로 설치하기로 해 그 이유를 경북도 관계자에게 묻자 “2014년 조류독감으로 산란계 53만여 마리를 매몰한 경주가 자체적으로 방역에 나선 것”이라며 먼 나라 이야기하듯 답변했다. 도내 각 시·군은 현재 상위 기관인 경북도의 특별한 조치가 없자 각 가금류 농가입구에서의 소독에 모든 걸 맡기고 있는 실정이다.

경북도는 문제가 될 곳을 미리 찾아내는 능력도 떨어졌다. 순환수렵장이 AI 사각지대라는 본지의 지적이 있자 부랴부랴 대책을 강구하기에 나섰다. 강원도 원주 등지의 야생조류에서도 H5N6형 AI가 검출돼 불똥이 어디로 튈지 모르는 정국을 의식한 것이다.

차단방역 저지선인 순환수렵장 인근 소독시설은 위기단계가 `경계`라서 설치할 계획이 없다는 경북도에 입장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한다.

경북도 관계자는 “문제가 될 것을 파악해 선제적 대응에 나서야 하는데 그러지 못했다”면서도 끝내 빠른 방역대책은 내놓지 못했다.

최근 경북도의회에서 방만한 예산운용으로 지적을 받은 경북도가 행사성, 전시성 행사에는 수백, 수천억원의 혈세를 쏟아부으면서도 정작 AI 사태로 불안감을 갖추지 못하는 도민을 위해서는 무기력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부디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일이 없기를 바랄 뿐이다.

안동/presskw@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