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이동 따른 상권 양극화로 중앙상가 황폐화
철강업 지속적 침체… 경제지표 심각한 적신호

포항지역 경기침체가 심상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998년 IMF 한파 때에도 끄떡없던 `철강도시`포항의 주요상권이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가운데 최근 각종 경기지표가 지역경제에 적신호를 보내고 있다.

◇구도심 중앙상가, 매출·임대시세 하락

포항시 주력산업인 철강업 침체는 시민들의 소비행태 변화를 불러와 주요상권 위축으로 이어졌다. 지역 상권이 처한 현실은 단순 매출분석을 통해 드러났다.

소상공인진흥공단이 조사한 지난 4월 기준 경북도 내 주요상권의 한 달 평균매출은 2천405만원으로 전국 평균(3천942만원)보다 1천500만원가량 차이가 벌어졌다. 서울(6천795만원), 제주(4천311만원), 대구(4천194만원)와 비교하면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17개 시·도 중 강원(1천997만원)에 이어 두 번째로 적었다. 특히 포항시는 북포항우체국을 중심으로 한 중앙상가 일대 주요상권의 한 달 평균 매출이 2천37만원으로 경북지역 한 달 평균매출액보다 낮았다. 따라서 지난해 8월 기준 해당 지역의 1층 월임대료는 ㎡당 1만8천859원으로 전 분기보다 0.3% 하락했다. 같은 기간 전국의 주요상권 내 월임대료는 2만3천325원/㎡을 기록하며 활성화지역 임대시세가 전체적으로 증가한 것과는 대조적이었다.

◇중대형·소규모 상가 공실률 전국 평균 추월

공실률도 심각한 상황이다. 한국감정원이 실시한 `2016년 2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 결과에서 소규모 상가 기준 지역별 공실률은 경북도 6.7%, 포항시 6.1%로 전국 평균(5.4%)을 크게 웃돌았다.

중대형 상가는 더 높았다. 같은 기간 경북도 내 비어 있는 상가는 전체의 16.1%, 포항시는 14.8%를 차지했다. 전국 중대형 상가 공실률(9.1%)과 비교하면 꽤 높은 수치다.

포항중앙상가상인회 신성수 회장은 “상권 활기를 되찾고자 여러 자구책을 모색하고 있다”며 “이는 최근 지역 내 주요상권으로 주목받았던 남구 이동, 북구 양덕의 상가들도 마찬가지 상황”이라고 말했다.

◇`장바구니인구`이동 감안 상권 연결고리 찾아야

지역 전문가들은 포항시 상권 침체와 관련해 인구이동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단순 경기 악화만 원인이 아니라 소비구매력을 지닌 `장바구니인구` 이동에 따른 상권 변화현상이라는 것이다.

과거 포항의 상권 중심지는 죽도시장과 중앙상가였지만, 남구 이동에 포항시청이 들어서자 인근 상가를 중심으로 소비가 늘기 시작했다. 북구에서 남구로 1차 상권 지각변동이 발생한 것이다. 이어 포항운하 재개발, KTX개통, 법원 및 공공기관 이전 등으로 도심공동화 현상과 함께 북구 장량·양덕동으로의 2차 상권 변화가 일어났다.

실제로 지난달 29일 포항시 북구청에 따르면, 중앙상가 일대를 포함한 중앙동의 토지·건물 등 재산세는 39억1천400만원, 장량동은 104억3천만원이었다. 지난 2005년과 비교해 장량동은 다섯 배가량 증가했지만, 중앙동은 두 배도 채 늘지 않았다. 소비구매력을 지닌 인구의 집단거주지, 활동중심지 변화에 따른 결과다.

한국은행 포항본부 김진홍 부국장은 “지역 상권경기 침체의 가장 큰 원인은 인구이동에 따른 상권 양극화 때문”이라며 “최근 10년간 크고 작은 도시변화로 말미암아 남·북구 인구 수가 뒤바뀌고 상권도 분리됐다. 이런 상황에서 구도심지와의 연결고리가 없어 중앙상가 등 주요상권의 침체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김혜영기자

    김혜영기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