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용일<br /><br />포항문화원장
▲ 배용일 포항문화원장

포항지역의 연오랑세오녀(延烏郞細烏女) 일월신화(日月神話)는 단군신화를 수록하여 유명한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실려 있어 일찍부터 학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었으며, 최남선이 단군신화는 한국문화 일체의 종자라고 했듯이 연오랑세오녀 신화는 포항문화 일체의 종자이며 원형질이다.

필자는 지금까지 `연오랑세오녀 설화`라고 일컬어 온 것을 과거 논문에서 `연오랑세오녀 신화`로 명명했다.

연오랑세오녀 신화는 157년(신라 8대 아달라왕 4년)에 탄생되었다. 신화의 중요 내용은, 「동해 바닷가의 연오랑 세오녀가 바위를 타고 일본에 건너가 변읍의 왕과 왕비가 되었고, 그 이후 신라가 일월의 빛을 잃게 되어 일월의 정(精)인 연오라오가 세오녀를 환국토록 하였으나 연오가 “일본에 오게 된 것은 하늘의 뜻이므로 돌아갈 수 없고, 대신에 아내 세오녀가 짠 비단을 가져가서 제사를 지내면 될 것이요.”라 하며 비단을 주자 이를 제물로 하여 제사를 지냈더니 일월이 전과 같이 되었으며, 그 비단을 국보로 삼아 귀비고에 간직하고, 제사지낸 곳을 영일(迎日縣) 또는 도기야(都祈野)라」한 것이다.

새로운 사료 `신라 아달라왕 때 영(연)오랑세오녀가 세계동(世界洞)의 당평(塘坪) 위에 집을 지어 살았으나 지금은 빈터만 남았다.`는 중대한 기록을 통해, 1850년의 연륜을 간직해온 연오랑세오녀 일월신화의 신성한 베일을 한 겹 벗길 수 있게 되었다.

필자는 이 두 사료와 다른 사료들을 바탕으로 포항문화의 정체성을 브랜드로 상징화하여 연오랑세오녀 일월신화와 일월사상의 창조적 가치를 재창출하려고 노력했다.

그 결과 첫째, 영일만 남남동쪽의 배산임수 지역에 연(영)오(延烏, 迎烏) 세오(細烏), 근기(勤耆), 근오지(斤烏支), 영(연)일(迎日,延日), 도기야(都祈野), 일월지(日月池), 오천(烏川), 세계(世界), 부산(夫山,扶桑), 일광(日光), 광명(光明), 중명(中明) 등 태양과 달과 빛과 관련된 수많은 인명과 지명이 집중 분포된 것은 선사시대 한민족의 삼족오태양숭배 일족이 영일만의 양곡(暘谷)지역으로 정착하여 토착민과 함께 진한의 근기국을 세웠음을 밝혀주었다.

일월신화(日月神話)의 탄생지에 수놓아진 여러 지명들과 이 지역의 가장 빠른 연중 일출시각 등은 우리 나라에서는 지금까지 포항지역만이 일월신화의 정체성을 오롯이 간직하고 있음을 증언해 주고 있다.

둘째, 영일지역의 진한의 근기국은 기원전 2세기 말~기원전 1세기초 소국을 형성하였다가 신라 건국 이후 2세기 중반에 편입되었다. 2세기 초 안강·흥해·기계를 복속시켜 울산까지 동해안 지역으로 영역을 확대한 신라는 고대국가 형성의 큰 정치사적 사건인 근기국 복속이 제8대 아달라왕(154~183)대에 이루어졌다. 아달라왕대에 영일만 일대를 실질적인 지배영역으로 복속하여 흥해에서 울산만에 이르는 동해안의 지역을 확보하게 되었다.

이와 함께 신라 2대 남해왕 3년에 시조묘를 세운 후 7대까지 한 차례씩 시조묘에 제사를 지냈으나 8대 아달라왕대에 와서 두 번이나 시조묘 제사를 올리며, 또한 시조묘를 중수했다는 사실은 건국의 시조신을 중심으로 정치세력을 통합하여 신라 고대국가의 확립을 도모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연오랑과 세오녀를 중심으로 한 근기국의 삼족오 일월숭배 집단(사제자,귀족, 직조·제철 기술자 등)은 전통적인 천제를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사로국 세력으로부터 압박을 받게 되자 신라의 복속에 불응하고 도기야 앞바다에서 배를 타고 양곡의 땅 신천지 개척을 위해 일본으로 도해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이러한 지명유래와 역사적 배경을 종합할 때 영일만의 양곡지역은 한민족(고조선)문명권의 삼족오태양숭배신화가 선사시대 유이민과 함께 이동 전승된 귀착지로서 한국의 대표적 일월신화의 성지라는 사실을 밝혀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