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신문발전기금`이 지금 고갈위기다. 한때는 300억원 이상의 여유자금이 조성되기도 했지만 2010년부터 예산편성에 40억원씩만 반영되면서 기금이 점점 줄어들다가 지금은 겨우 22억원 뿐이다. 내년 예산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으면 기금사업 자체가 폐지되거나 명맥만 겨우 유지하게 된다. 미국의 예를 보면, 거대 자본을 앞세운 `종편`이 나타나면서 중앙언론만 `공룡`이 되고, 지방언론은 없어지거나 중앙언론에 예속되었다. 바로 지방언론의 말살이었다. 지방자치시대에 지방신문의 멸실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해서 `지역신문발전기금`이 조성됐고, 매년 심사를 거쳐 지원금을 주어왔다. 영상매체 위주의 21세기 언론 현실에서 `종이신문`도 존재할 수 있다는 당위론도 있고, `종이신문의 장점`도 상당히 있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2014년 예산에 이 기금을 확충하려는 시도가 좌절됐다. 국회 교문위가 정부안 50억원에 150억원을 증액해 200억원을 편성해 예결위에 넘겼으나 기획재정부는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은 오는 2016년까지 효력을 가진 한시법이란 점”을 내세워 증액에 난색을 표하는 바람에 끝내 성사되지 못했다. 지역균형발전이나 지역언론의 다양성은 반드시 필요하니, 국회가 법을 개정해서라도 기금 하나는 튼튼히 세워두어야 한다.

안동축제관광조직위원회의 혈세낭비와 방만경영에 관한 그 실태가 드러났다. 안동시가 자체감사를 통해 밝혀낸 내용을 그동안 쉬쉬 해왔는데, 최근 이를 밝히고 쇄신안도 내놓았다. 수십억원의 연간 예산을 주먹구구로 사용했고, 보조금이 개인통장으로 입·출금됐다. 자가용 차량에 유류대를 주고 공로연수중인 공무원에 활동비와 급식비를 지급한 위법도 저질렀다. 국외여행비를 지출하면서 관련 서류를 갖추지 않았고, 보조금 수억원을 증빙서류 없이 지출했다. 또 축제에 따른 각종 계약도 임의로 업체를 선정해 수의계약으로 처리했고, 최저금액이 아니라 최고금액을 써낸 업체를 선정하기도 했다. 안동·임하댐 비리사건에 축조위 비리사건까지 겹쳐 선비의 고장 안동의 이미지가 크게 실추되었다.

경북 동해안지역 기업체의 새해 체감경기가 여전히 풀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포항본부는 “비제조업체가 경영애로를 겪고 있는 것은 내수부진, 인력난, 불확실한 경제상황, 비수기 등 계절적 요인이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한은 포항본부가 지난달 16일부터 31일까지 경북동해안지역 260개 법인 가운데 173개 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이다. 내수 경기 활성화에 시민들이 힘을 보태야 하겠다.

청마처럼 힘차게 뛰는 한 해가 돼야 하겠다는 각오는 다지지만 현실은 그리 녹록치 못하다. 심기일전해서 우리지역의 새로운 도약을 기약하는 새해가 되기를 기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