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과학도시를 꿈꾸는 대구·경북권의 미래 첨단경제 동향은 사실상 그리 밝지 않다.

우수한 과학적 인프라를 가지고도, 정작 지역에서 뿌리내리고 싶어하는 젊은 사업가들이 그리 많지 않은 까닭이다.

포스텍(포항공과대학교)의 경우 지난해 특허 등 지식재산으로 출원·등록한 연구 결과물은 모두 608건(출원 364·등록 244)에 달한다.

반면 같은 기간 기업체 기술이전 건수는 22건이 전부다. 이 기술이전으로 포스텍은 지난해 17억2천만원의 수익을 거둬들였다.

이마저도 지역기업의 몫은 아니다. 기술이전 대부분이 기업체에서 막대한 투자비용을 부담하는 `연구 의탁`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연구 결과물은 거의가 자본력을 갖춘 대기업에서 소유하게 된다.

나머지 지식재산을 활용하기 위해 포스텍은 창업보육 프로그램을 통해 졸업자와 외부 인력 등의 벤처사업을 유도하고 있지만,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지난해 포스텍 창업보육센터 현황을 보면 신규 입주 3건, 졸업 기업 2건, 보육 기업 9건 등 모두 14건에 불과하다.

나노기술집적센터와 방사광가속기 등 우수한 인프라가 R&D 산업의 발전을 가져왔을지는 모르나 정작 이를 활용한 경제활동에는 제대로 된 수혜를 주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그렇다면, 이처럼 지역에서 과학 연구와 경제활동 간의 차이가 발생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지역 창업·보육 지원사업의 부실화에서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아무리 우수한 과학 자원을 가지고도 지역에서 창업의 씨앗을 뿌리기에는 주변 수요처와의 접근성은 물론 자원 마련, 기술 상용화 연구 등에서 분명 한계점이 존재한다.

포스텍 사업화지원팀 황남구 박사는 “뛰어난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실제 경제활동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술 개발 과정만큼 기술 상용화 과정이 존재한다”면서 “지역에서는 이만한 상용화 과정을 부담할 업체도 드물고, 창업을 한다 해도 마케팅과 판권 등을 조언해 줄 제반요건이 완벽하다고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러한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뛰어난 인재들이 창업 등을 위해 지역을 벗어나게 되면서, `철강 일변도의 포항`이나 `전자산업 중심의 구미` 등 지역 경제의 일관화가 고착되기 쉽다는 점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지역 벤처기업 장기 육성 계획이나 기술 상용화 공동기관 수립 등이 좋은 해법으로 제시된다.

/신동우기자 beat082@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