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휘호

칠흑 같은 길고 긴 터널을 기어서 지나왔다.

인생은 예고 없이 덮치고 찾아오지만 우리 모두는 지혜와 슬기로 이겨냈다.

새 희망과 같이 새해가 열린다. 작품은 ‘개운 홍희(開運鴻禧)’이며

“세상에 대운이 열러 큰 기쁨이 온다”라는 내용이다.

홍희(鴻禧)는 큰 복이고 경사스러운 기쁨이다.

새해 삶의 참다운 주인공이 되시길 기원하면서 거칠고 서투르지만 정성과 기운을 담았다.
 

솔뫼 정현식

개인전 15회
대한민국 서예대전 초대작가 심사위원 역임
경상북도 문화상 수상
서체 개발 : 솔뫼민체 외 8종
저서 : ‘푸른 소를 타다’ 외 8권
동국대, 승가대 외래 교수 역임 / (현)솔뫼서예연구소장
 

 

 

신년세화

달 속의 계수나무 밑에서 절구를 찧는 토끼 부부, 호랑이와 함께 익살과 해학을 민화 속에서 보여주는 장면은

늘 보는 이로 하여금 웃음과 즐거움을 준다. 2023년은 계묘년(癸卯年) 토끼의 해. 토끼처럼 지혜롭고 추진력 있게

한 해를 보내야 한다. 힘을 모아 앞으로 나아가면 흥할 것이요 지혜를 멀리하고 삶의 즐거움을 잊으면

매우 어려울 것이다. 덕을 나누고 베풀면 그만큼 복은 돌아온다. 그것이 가장 큰 지혜다.

 

모락 권정찬

초대개인전 51회
대형 휘호 퍼포먼스 30여회
미국대통령상 금상 수상
현 국제예술인협회 대표
저서 : ‘깨달음의 순간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토끼를 등에 태운 거북이 장식.
토끼를 등에 태운 거북이 장식.

2023년 계묘년 ‘흑묘의 해’ 띠풀이

2023년 계묘년(癸卯年) 토끼해를 맞았다.

토끼는 생김새가 자그마하고 귀엽다. 표정이 놀란 듯한 이미지로 우리의 정서에 가장 친근하고 사랑스러운 동물이다. 토끼를 뜻하는 한자어 ‘묘(卯)’자는 만물의 성장과 번창, 풍요의 의미가 들어있다. 이는 농경민족의 특성이자 토끼의 속성이다. 토끼는 어느 짐승보다 생명력으로 가득 찬 상징인 셈이다. 토끼는 열두 띠의 동물 중 남다른 재치와 추진력을 가졌다고 한다. 구전동화에서 토끼는 호랑이를 속이는 토끼, 자라를 속이는 토끼 등으로 속임수의 명수로 그려진다. 민첩한 특성 때문에 심부름꾼이나 전령 등 충성스러운 동물로도 나타난다.

韓·中·日 공통 ‘만물의 성장·풍요’ 상징
민담·속담 속에선 지략·교만 이미지로
육십갑자 중 40번째 계묘년인 올해는
토끼의 지혜와 더불어 화합·상생 기원

 

청자 투각 칠보무늬 향로.
청자 투각 칠보무늬 향로.

토끼는 달의 정령이자 장수의 상징

전설에는 밝고 둥근 달 속 계수나무 아래에는 한 쌍의 토끼가 다정스럽게 방아를 찧는다. 옛사람들은 달 속 토끼처럼 천년만년 평화롭고 풍요로운 세상에서 아무 근심 걱정 없이 살고 싶어 했다. 불로장생의 약을 찧는 토끼는 달의 정령이자 장수의 상징이다.

토끼는 묘방(卯方)인 동쪽을 맡은 방위신이다. 양(陽)의 세계인 태양에서 양기를 받아먹고, 음(陰)의 세계인 달에서 장생약(長生藥)인 음기를 받아먹는다. 그 음양 기운이 간경(肝經)에 들어 눈이 밝은 동물로서 토끼의 간은 불로장생의 영약(靈藥)이 된다. ‘토끼전’에 나오는 토끼의 간은 그래서 별주부가 목숨 걸고 찾는다. 자라의 꾐에 빠져 용궁 속에 따라간 토끼가 용왕의 병을 고치기 위해 자기의 간을 꺼내려 한다는 것을 눈치채고 기지를 발휘하는 장면은 토끼의 지혜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자신의 간을 배밖에 내놓았다가 필요할 때만 넣고 다닌다며 용왕을 속이는 토끼의 재치는 기발하기 이를 데 없다.

토끼는 번식력이 왕성하다. 일정한 발정기가 없이도 아무 때나 짝짓기를 해 새끼를 잉태할 수 있는 생물은 인간을 제외하고는 토끼뿐이라고 한다. 생식력은 약육강식의 세상에서 먹잇감·사냥감으로 태어난 약자의 생존방식이다. 잡아먹히는 숫자보다 더 많은 새끼를 번식해야만 비로소 자기 종족을 보존할 수가 있다.

우리 민족과 토끼

우리 민족의 심성은 토끼에 잘 나타난다. 옛날이야기 ‘토끼와 거북이’ 속 꾀쟁이 토끼나 보름달 속 계수나무 아래에서 떡방아를 짷으며 살고 있는 토끼, 힘있게 솟구쳐 뛰는 깡총깡총 토끼 등은 그 역할이 다양했다.

우리 조상들은 토끼가 주는 순결함과 평화로움 때문에 일찍이 토끼를 이상향에 사는 동물로 만들어 놓았다. 옛사람들은 달을 늘 이상향으로 그렸고, 그 이상향에는 계수나무와 함께 토끼가 방아를 찧고 있다고 했다. 우리의 전통 민속화에서 해(日)는 곧잘 발이 셋 달린 까마귀로 표현되고, 달(月)은 토끼로 표현된다.

사찰의 신장탱화(神將幁畵)에도 토끼가 등장한다. 까마귀(해)와 토끼(달)를 머리에 이거나 손에 들고 있는 일월성신도(日月星神圖), 양산 통도사와 수원 팔달사에는 거북이 등에 실려 용궁으로 가는 토끼 모습을 그린 벽화도 있다. 효자문 열녀문, 산신각 등 옛 건축에는 기둥과 서까래 사이에 거북이를 타고 있는 토끼를 조각했다. 이는 그 건물이 불이 나지 않기를 바라는 형상물이다.

토끼는 깨끗하고 귀여운 이미지로 공예품에서 많이 그려지고 새겨진다. 연적(硯滴)으로도 토끼 형상을 많이 쓴다. 토끼는 앞발이 짧고 뒷발이 길어서 오르막을 잘 올라간다. 그래서 토끼 꿈은 승진을 의미한다.

토끼는 평화와 다산을 상징한다. 조선 후기 유명화가인 조영석의 ‘암하춘토’(巖下春兎·바위 아래 봄 토끼)와 김득신의 ‘추계유금도’(秋谿遊禽圖·가을 계곡에 노니는 동물 그림) 등에서 볼 수 있다.

민간에 전해져 오는 토끼와 관련된 설화에서 토끼는 주로 지략의 주인공으로 그려진다. 이는 토끼라는 연약한 동물에 민중들의 인식이 더해져 탐관오리나 권력자 등 강한 자를 지혜롭게 물리치고 골려주고자 하는 소망이 담겨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한다.

토끼는 민담뿐만 아니라 속담에도 많이 등장한다. 대개 생태적 속성을 소재로 한 것인데 그 캐릭터가 다양하다. 그 하나가 연약함과 민첩성인데, ‘토끼는 굴을 셋 판다’는 속담은 위기 탈출을 위해 비상구를 셋을 만들어 대책을 미리 세운다는 뜻으로 토끼의 영리함을 나타낸다. ‘범 없는 골에는 토끼가 스승이다’는 토끼의 교만함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며 ‘토끼가 제 방귀에 놀란다’는 토끼의 나약함과 소심함을 표현한 것이다. ‘호랑이 잡으려다 토끼 잡는다’는 토끼가 보잘것없는 존재로 그려지고 있다.

계묘년 간지 풀이

2023년은 육십갑자 중 40번째로 계묘년이다. 천간(千干)인 계(癸)는 오행상 색깔이 검은색이고 묘(卯)가 토끼이니 올해는 검은 토끼띠 해가 된다. 십이지(十二支) 동물 중 넷째인 토끼(묘·卯)는 쥐 다음으로 작은 짐승이다. 하지만 그 위치는 당당하게도 호랑이와 용 사이에 있다. 토끼는 한·중·일 동아시아 3국에 공통된 십이지 상징 코드에서 만물의 생장과 번창, 풍요를 상징한다.

역술인들은 계묘에서 천간에 해당하는 계는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가 순환을 한다는 오행(五行) 이론을 말한다. 수(水)를 상징하고, 지지(地支)에 해당하는 묘(卯)는 목(木)을 상징해 수가 목을 도와주는 형상이라고 설명한다. 그렇기에 불협화음이 일어나고 갈등이 불거졌던 2022년 임인년과 다르게 2023년은 세상에 내리는 이슬비처럼 어린나무나 화초와 같이 좋게 마무리하는 화합과 상생의 해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특히 계묘(癸卯)는 육십갑자 중 천을귀인(天乙貴人·하늘의 은덕을 받는 길신)으로 하늘의 신이 돕는다는 최고의 길신이다. 하늘의 은덕을 받아 각자가 맡은 바 자리에서 성실히 살아간다면 좋은 기운으로 움직일 것이다. 이를 믿는다면, 2023년은 천을귀인의 도움으로 2022년에 벌어졌던 사건들이 토끼의 지혜와 더불어 잘 마무리되는 한해가 될 것이다.

토끼는 영원한 꾀보다

토끼는 영원한 꾀보, 꾀쟁이다. 그 바탕은 토끼는 꾀가 많고 지혜로운 동물이다. 옛날이야기에서 토끼는 힘이 약하고 몸집이 작은 것에 반비례해 매우 영특하고 착한 동물로 그려진다. 토끼는 이야기에 등장하는 또 다른 소재인 호랑이 등의 맹수에 비하면 약한 동물이 틀림없다. 체구가 크고 힘은 강하나 우둔한 동물들에게 토끼는 저항하는 의롭고 꾀 많은 동물 구실을 도맡는다. 자신이 가진 꾀와 영리함으로 다른 강한 동물에게 지거나 이용당하지 않고 오히려 이용함으로써 골탕을 먹이기도 하는 존재이기도 하다.

새해 아침의 햇살이 온 세상 삼라만상을 비춘다. 천을귀인(天乙貴人)이라는 계묘년 새해 아침에 부치는 한해의 희망과 소망이 더욱 간절하다. 여리지만 날쌔고 재빠르며 지혜와 슬기, 불로장생의 영약을 만드는 토끼처럼 토끼해 2023년에는 슬기롭고 밝은 새해가 되길 기원한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도움말=류대창 명리연구자, 천진기 전 국립민속박물관장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