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룡 서예가
강희룡 서예가

토착왜구(土着倭寇)는 자생적인 친일 부역자를 뜻하는 사어(死語)였다가 최근 들어 여당 정치인들에 의해 다시 활성화된 표현이다. 구한말의 유학자로 일제 강점기에 남원지역에서 항일 운동을 하다가 순국한 이태현 선생의 산문집인 ‘정암사고’에 토착왜구는 ‘토왜’라는 말로 친일부역자란 뜻으로 사용됐다. 하지만 이태현은 이 말의 창안자가 아니고 많은 사람들이 공감해서 자주 쓰다 보니 지식인의 문집에 등재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토착왜구라는 표현이 처음 언론에 등장한 것은 1910년 대한매일신보에 토왜천지라는 글이 실려서 토왜를 얼굴은 한국인이나 창자는 왜놈인 도깨비 같은 자로 나라를 좀먹고 백성을 병들게 하는 인종으로 규정하고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 첫째로 일본의 앞잡이 노릇하는 고위 관료층, 둘째로 일본의 침략 행위와 내정 간섭을 지지하는 정치인과 언론인, 셋째로 일본군을 믿고 각 지방에 출몰하여 남의 재산을 빼앗고 부녀자를 겁탈하는 자들, 넷째로 애국지사를 모함하고 왜구를 원망하면 거짓말을 날조하여 사람들의 마음에 독을 퍼뜨리는 자들로 정리하고 있다.

구한말 개혁의 반대편에 섰던 고종의 개화파제거와 국고는 탕진되고 청의 세력으로 권력을 쥔 민비의 매관매직행위와 그 일가의 5민(五閔) 척족정권은 이미 망국의 조건을 갖추고 있었으니 1910년 한일합병조약이 체결됨으로서 국권은 피탈되고 조선은 한반도에서 사라져 36년이라는 일제강점기를 맞이하게 된다. 단발령과 창씨개명 등으로 일본어사용이 강요되고 일체 집회가 금지되어 한국의 민족문화는 말살되었다. 당시 기득권층은 국내에서의 항일운동이 어려워지자 상당수 항일민족운동자들은 독립운동을 지속적으로 펼치기 위해 만주나 시베리아 등지로 이주 망명하여 항일운동을 했다. 그러나 애석하게 지금의 한국과 북한은 이들 항일독립투사들의 투쟁으로부터 얻어진 것이 아니라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미국에게 무릎을 꿇자 어부지리로 탄생된 신생국가이다. 여당의 이개호 의원은 지난달 28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건강문제로 사의 표명을 한 것을 두고 우리나라 친일파와 토착왜구들의 상실감을 어떻게 회복해야 할까라고 했다. 야권을 토착왜구로 특정 짓고 던진 말이다. 이렇게 보수야권에게 씌운 토착왜구 프레임으로 정치적 이득을 많이 본 진보여당의 친일 기준은 일본과의 외교나 무역을 대화를 통해 결정하는 행위는 무조건 친일이고 일본과 적대시하거나 등을 돌리는 행위라야 민족의 반역자가 아니다. 아이러니하게 참여정부시절 대대적인 친일청산 작업 중 당시 홍보수석이던 조기숙의 증조부가 조병갑으로 밝혀지는 사건을 비롯해 열린우리당 신기남, 이미경 의원 등 부친은 일본헌병이었으며, 친일진상규명법 제정에 앞장섰던 김희선 의원 부친은 일본비밀경찰로 독립군을 체포하고 고문한 것으로 밝혀졌다. 대한민국수립 이래 보수 진보 없이 역대 대통령을 비롯해 정치권이나 관료들 부모가 친일에서 자유로운 사람은 그리 많지는 않을 것이다. 해방된 지 75년 이 시점에 부질없이 친일척결을 외치는 한심한 정치인들의 적폐행위를 국민의 입장에서 보면 나라 거덜 내는 정치세력이 바로 토착왜구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