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 보존 방침 후
관광객 발길 이어져
정부기관 영구보존 인허가 절실

하회마을을 찾은 관광객들이 섶다리를 건너고 있다. /안동시 제공

철거 논란을 빚었던 세계유산 하회마을의 ‘섶다리’가 관광객 유입에 효자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수천만 원을 들여 조성한 하회마을 ‘섶다리’의 철거 여부를 두고 논란<본지 5월 17일자 1면, 20일자 2면 등 보도>이 일자 안동시가 철거하지 않고 보존하기로 방침을 정한 뒤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시에 따르면 지난해 5월 7만780여 명이던 하회마을 방문 관광객이 올해 같은 달 기준 9만5천780여 명으로 35%(2만5천여 명)나 증가했다. 이들 가운데 70% 이상이 섶다리를 건너보고 부용대나 화천서원 등으로 이동한 것으로 파악됐다. 시는 하회마을 섶다리가 안동 관광유형에도 큰 변화를 몰고 온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섶다리 개통 이후 하회마을 평균 체류 시간도 기존 1시간 30분에서 2시간 30분으로 한 시간 정도 늘었다.

앞서 시는 지난달 12일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 하회마을 방문 20주년 기념사업의 하나로 세계유산 하회마을에 7천만원(철거비 포함)을 들여 ‘섶다리’를 설치했다. 게다가 이날 개통식에도 2천여만 원이 투입되는 등 총 9천여만 원의 혈세가 들어갔다.

하지만 개통하고 불과 2주 뒤인 지난달 26일에 이 다리가 철거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전형적인 예산 낭비의 표본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개통 시기를 앤드루 왕자의 안동방문에 맞춘 것으로 알려진 것과는 달리 정작 왕자는 다리를 밟지도 않았다.

이런 가운데 국민 혈세로 만들어진 이 다리를 철거하지 말고 영구 보존하자는 여론이 형성됐고, 안동시는 이를 보존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나섰다.

이에 따라 시는 최근 ‘섶다리’ 임시허가가 아닌 영구보존을 위해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과 문화재청에 하천점용허가, 문화재현상변경허가를 각각 신청했다.

하지만 이 다리가 설치된 낙동강 지류는 물이 깊고 물살이 빨라 사람이 빠질 경우 삽시간에 떠내려갈 수 있어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곳이다. 이 때문에 문화재청에 약 한달 간의 임시 허가를 받을 때도 당시 이 문제가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안동시 관계자는 “관광객이 많이 찾는 만큼 섶다리 보존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지만, 결과를 낙관할 수는 없는 상태”라며 “관련기관에서 인허가를 하지 않으면 오는 14일까지 이 다리를 철거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회마을 ‘섶다리’는 하회마을 만송정에서 강 건너 옥연정사 앞까지를 잇는 전통 방식의 123m의 다리다. 이 다리의 폭은 1.5m다. 성인 한 사람이 충분히 걸어갈 수 있는 너비다. 이에 따라 관광객은 물론 강 건너 마을 사람들까지도 자유롭게 걸어서 오갈 수 있게 됐다. 기존 하회마을 건너편 마을 사람들이 하회마을을 방문하려면 버스를 두 번이나 갈아타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실제 이 다리는 약 50여 년 전까지만 해도 실제 존재했다. 마을 사람들이 해마다 장마가 끝난 10월 말에 설치해 이듬해 장마철 무렵 거둬들이던 임시 다리로 알려지고 있다. 1828년 이의성이 그린 ‘하회도’에도 선명하게 나타난다.

/손병현기자 why@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