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노령화지수가 처음으로 60을 넘어선 가운데 경북 동해안지역도 고령사회 진입이 크게 앞당겨져 성장잠재력 악화가 우려되고 있다. 한국은행 포항본부가 최근 2002년과 비교한 경북 동해안의 저출산 및 고령화 현황과 향후 대처방안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영덕과 울진은 이미 2002년에 고령사회로 들어섰고 지난해 상반기에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도시인 포항은 2002년 고령화율 6%에서 지난해 9%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해 있고, 경주는 11%에서 14%로 고령사회 문턱을 넘어선 것으로 파악됐다. 고령화율은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의 노년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노인 인구가 7~13%를 차지하면 고령화 사회, 14~19%를 고령사회, 20% 이상을 초고령사회로 구분한다.

한은 포항지점은 또 경북 동해안의 생산 가능 인구는 지난해 71.4%에서 2020년에는 70.1%로 낮아지고, 2050년에는 50% 수준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와함께 출산연령층(20~39세)도 2002년 여성인구 중 31.3%를 차지했으나 지난해에는 26.1%로 7년간 5.2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경북도 평균 감소율 4.3%포인트보다 더 높았다는 것이다.

특히 경북 동해안 현역세대(15~64세)의 부양인구비가 지난해 40.1%에서 2020년 42.6%, 2050년에는 97.9%로 2배 이상 늘 것으로 전망돼, 생산활동이 가능한 현역세대가 유년층(0~14세)과 은퇴세대(65세 이상)를 책임지는 부양부담이 급증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 지역 잠재성장률 저하가 우려된다.

도시와 농·어촌간의 교육, 취업, 소득격차로 청년인구의 도시 유출은 가속될 것이고 저출산 및 노령화는 더욱 심화 될 것이다. 이로 인한 노동시장의 취업구조 노령화와 생산성 둔화, 새로운 사회복지 수요향상에 따른 부양부담 증가 등 부정적인 현상을 동시에 발생시킬 가능성이 크다. 이를 해결하려면 자립경제 또는 지역순환형 경제구조로의 전환을 통한 인근지역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순환경제권 형성이 시급하다. 그래야 시너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생산 가능 인구의 감소를 고령자나 여성 노동력으로 대체하고 기업도 새로운 기술개발과 노동생산성 향상 방안을 모색해야 인구감소에 대비하면서도 지속적인 성장잠재력 확충할 수 있다.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