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위기론이 일각에서 제기되면서 포항시가 외형위주의 포퓰리즘 정책에만 지나치게 집착하고 있지는 않은지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외지 신규기업 유치를 통해 지역경제성장을 이끌어내겠다는 포항시의 의지는 십분 공감하고 있지만 기존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정책적인 측면에서의 지원에서 홀대를 받고 있다는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여기에다 포항이 성장동력으로 내세워 온 포스텍과 포스코, 영일만항과 배후단지, 차세대 성장 산업의 육성, 대통령의 고향도시 기대감, 이른바 `MB효과`의 부진에 대한 우려가 곳곳에서 고개를 들면서 포항이 정확한 방향성을 갖지 못하고 우왕좌왕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최근 가장 문제점으로 거론되고 있는 부분은 포항시의 `집토끼` 홀대정책이다.

포스코는 지난 2006년 순천에 마그네슘 강판 공장 유치를 확정한 데 이어 지난 7월말에는 1조원 규모의 합성천연가스(SNG) 플랜트도 광양에 건설하는 MOU를 체결했다.

포스코는 가스 공급망이 광양·광주권에 조성돼 연간 150억여원의 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는 배경을 설명했지만 내부적으로는 포항제철소 안팎에 적당한 부지가 없고 부지확보를 위한 포항시의 협조사항도 별진척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또한 연일읍 우복리 일대 100만여평에 추진된 그린일반산업단지도 일부 주민의 반대와 포항시의 소극적 사업성사 의지로 인해 표류하고 있고 동해·장기면 일대 국가산단 조성 면적도 당초 계획 보다 25% 줄어든 210여만평으로 축소됐다.

기존기업들이 공장부지가 없어 아우성을 치고 있지만 포항시는 애초부터 기존기업의 새로운 투자확대 및 외지기업 유치를 위한 충분한 토대를 준비하지 못했다.

설상가상, MOU(투자양해각서) 체결 기업들도 최근 잇따라 사업계획을 백지화하면서 포항시의 정책결정이 내실보다는 포퓰리즘 성격이 짙었다는 것이 지역민들의 반응이다.

포항시 역사 이래 포항시 공직자들이 가장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격려를 보내지만 한건 위주의 대어만 낚으려는 욕심을 지양하고 현재의 토대를 더욱 공고히하면서 일의 순서를 명료화하는 보다 체계적인 정책결정이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