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 쌀 섭취량 집밥보다 많아
끼니당 섭취량 60세 이상 으뜸

국민 10명 중 3명은 아침을 거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쌀 섭취량은 집밥보다 외식이 더 많았다. 나이가 많을수록 쌀 섭취량도 많아졌다.

정미옥 통계개발원 사무관은 25일 발간한 통계청의 ‘통계플러스 봄호’에서 이러한 내용의 분석을 발표했다.

정 사무관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섭취조사의 마이크로데이터를 가공해 우리나라 국민이 하루 세 끼를 먹는 동안 쌀을 얼마나 소비하는지 분석했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기준으로 아침을 결식하는 비율은 28.1%였다. 10명 중 3명꼴로 아침을 먹지 않는 셈이다.

점심 결식 비율은 7.7%, 저녁 결식 비율은 5.4%로 아침보다 훨씬 적었다.

하루 세끼 중 평균 결식 횟수는 0.41회였다.

연령별로 보면 18∼39세에서 0.67회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 미취학 연령대인 5세 이하는 0.13회, 60세 이상은 0.18회로 낮게 나타났다.

쌀을 섭취하는 끼니 수는 하루 평균 1.86회였다. 60세 이상은 2.27회, 5세 이하는 2.26세로 높게 나타난 반면, 18∼39세는 1.43회에 그쳤다.

2019년 기준 1인 1일당 쌀 섭취량은 137.2g이었다.2013년(172.9g)과 비교해 20.6% 감소한 것으로 연평균 3.8%씩 줄어든 셈이다.

외식과 가정에서 섭취하는 경우(내식)를 비교해보면 한 끼니당 평균 쌀 섭취량은 외식이 59.4g, 내식이 49.3g으로 외식 쌀 섭취량이 10g 더 많았다. 외식의 쌀섭취량이 내식보다 적을 것이라는 통념과 반대된 결과가 나온 것이다.

2013년만 하더라도 쌀 섭취량은 내식이 65.2g, 외식이 62.6g으로 내식이 더 많았으나, 2016년을 기점으로 역전됐다. 내식에서의 쌀 섭취량이 외식보다 더 빠르게 감소한 결과다.

2013∼2019년 내식 쌀 섭취량은 연평균 4.6% 감소해 외식(-0.9%)보다 가파르게 줄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2019년 기준 60세 이상에서 한 끼니당 평균 쌀 섭취량이 56.8g으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많았다. 40∼59세는 55.6g, 18∼39세는 51.7g, 6∼17세는 52.3g, 5세 이하는 35.2g이었다. /이부용기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