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력 2월 초하루 여린 쑥으로 떡 만들어 먹어
쑥떡은 기운을 돋게 하며 액땜의 의미도 가져

쑥 뜯는 사람들.

지난 10일은 음력 2월 초하루인 이월 명절로 쑥떡을 먹는 날이었다. 겨우내 고요하던 대지에 봄 햇살로 분주해진 냉이, 달래, 돌나물, 봄동, 쑥 등 많은 봄나물이 산과 들에서 자리다툼으로 와글와글한 음력 2월 초하루가 되면 아직 여린 쑥을 뜯어 떡을 만들어 먹는다. 이 날 쑥떡을 먹으면 봄의 시작을 알리는 쑥이 겨우내 움츠렸던 몸에 기운을 돋게 해주어 아무 탈 없이 일 년을 보내며 그 해 농사도 풍년이 들게 한다고 믿었다. 동월(蕫越)의 ‘조선부(朝鮮賦)’에 의하면 3월 3일 쑥 잎을 따서 찹쌀가루에 섞어 쪄서 떡을 만드는데, 이것을 쑥떡이라고 하였으며, 중국에는 없는 것이라 하였다.

이월 초하루는 바람을 관장하는 신인 영등할머니가 천계에서 인간세상으로 내려오는 날이다. 풍신(風神)이라 부르기도 한다. 우리의 삶과 연계시킨 영등할미가 스무날 머물다 천계로 올라가는 날 어머니들은 부엌이나 장독대에서 소지를 올리며 가정의 안위와 소박한 우리네 삶이 평안하길 빌었다. 경북 일원은 영등할미에 기원해서 풍신제(風神祭)를 지내며 액운을 면하고 농사가 잘되기를 바라 떡과 과일을 볏짚에 올려놓기도 했다.

음력 2월 초하루에 쑥떡을 먹는 또 다른 유래로는 겨우내 농한기가 끝나고 봄을 맞아 이제 일을 시작해야하는 머슴들과 노비들에게 마지막으로 한 상 차려 먹이며 기운을 돋게 하는 쑥으로 떡을 만들어 함께 먹게 했다.

쑥떡은 액땜의 의미도 가진다. 동국여지승람과 중국 송사(宋史)를 보면 고려에서는 상사일(上巳日)에 쑥떡을 먹는다고 했다. 삼짇날 쑥떡을 먹는 것은 옛날 사람들은 상사일에 겨울잠을 자던 뱀이 깨어난다고 생각했다. 뱀이 집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마당 곳곳에 뱀이 싫어하는 말린 쑥을 널어놓곤 했는데 상사일에 쑥떡을 먹는 것도 이런 풍속에서 비롯된 것이다.

 

낙엽 위로 봄을 알리는 쑥.
낙엽 위로 봄을 알리는 쑥.

단옷날 쑥떡을 먹는 것도 액땜을 의미한다. 6세기 풍속서인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5월은 나쁜 기운이 넘치는 악월(惡月)이라 금기가 많은데 그중에서도 5월 5일 단옷날은 다섯 가지 독이 뿜어져 나오는 날이라고 풀이했다. 오독(五毒)이란 봄이 완연해지는 단오 무렵 독이 잔뜩 오른 해충을 두고 말한 것으로 전갈, 뱀, 지네, 거미, 두꺼비 독을 말한다. 쑥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벌레와 해충을 쫒는 약초로 쓰였으며 악령이나 귀신을 몰아내 몸과 마음을 정화시키는 신령한 약초로 여겼다. 진나라 때 역사책인 여씨춘추(呂氏春秋)전에도 단오절에 창포와 쑥으로 목욕을 해서 나쁜 기운과 액운을 쫒는다고 했다. 고문헌에서 쑥이 부정한 기운을 몰아낸다고 한 것을 현대적인 관점으로 보면 해충들의 활동이 왕성해지는 여름이 시작되기 전에 어떻게든 해충들을 쫒아내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오늘날에도 봄이면 쑥떡은 제철 음식으로 사랑받는다. 환웅이 곰과 호랑이에게 마늘과 쑥을 주며 100일을 버티라고 하는 단군신화를 읽으며 우리는 이미 쑥과 친숙하다. 따뜻한 성질을 가진 쑥은 동의보감에서 위장과 간장 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하고 뜸이나 찜질 등의 약재로도 쓰이며 지혈에도 효과가 있다. ‘7년 된 병을 3년 묵은 쑥을 먹고 고쳤다’는 속담도 있다. 그러나 쑥은 뿌리를 이용해 토양 속의 중금속을 빨아들이는 성질이 있으므로 조금이라도 오염이 의심되는 곳에 난 쑥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봄철 보양식으로 쑥떡만큼이나 도다리 쑥국도 별미다. /박귀상 시민기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