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세포가 꽃피는 계절에 읽는 詩

봄은 여행자를 설레게 하는 계절이다. 누구라도 훌쩍 떠나고 싶게 만드는 바로 그 봄이 왔다. /언스플래쉬
봄은 여행자를 설레게 하는 계절이다. 누구라도 훌쩍 떠나고 싶게 만드는 바로 그 봄이 왔다. /언스플래쉬

산에는 울긋불긋 갖가지 꽃이 피고, 바다는 겨울을 이겨낸 온화함으로 사람들을 손짓해 부르는 시절이다. 떠났던 봄이 돌아왔다.

경북의 여러 지자체들은 저마다 성큼 다가선 봄을 맞이할 다양한 축제를 준비하고 관광객들을 기다리고 있다. 곧 펼쳐질 화려한 페스티벌이 가족과 친구, 연인을 설레게 할 것이다.

겨울은 아무래도 방 밖으로 나오기가 망설여진다. 매운 추위와 활동하기 좋은 낮 시간이 짧은 탓이다.

하지만, 이제 바람에도 따스함이 스며들고 해도 부쩍 길어졌다. 누군가의 손을 잡고, 만약 동행할 사람이 없다면 혼자라도 어디론가 떠나고 싶어지는 계절.

특정한 여름 며칠에 몰리던 한국의 휴가 패턴이 달라진 건 이미 오래 전이다. 이제 봄에도 일정 기간의 휴가를 얻어 국내는 물론 해외로 여행을 떠나는 이들이 적지 않다. 세상이 변한 것이다.

고래로부터 ‘봄’은 좋은 계절로 불려왔다. 환한 3월 햇살 아래서 낯선 공간을 떠돌며 새로운 삶의 에너지를 얻고자 하는 이들에게는 특히 그랬다. 재론의 여지없다. 봄은 여행 세포가 꽃피는 시기다.

목련을 필두로 진달래와 개나리가 망울을 터뜨리기 시작한 산도 좋고, 온갖 해산물이 잃었던 입맛을 돌려줄 바다도 좋다. 일상에서 훌쩍 벗어나 봄날의 맑고 자유로운 공기를 호흡할 수 있다면 그게 어디건 무슨 상관일까.

초등학교 시절의 봄 소풍처럼 즐거운 기억으로 남을 2024년 봄 여행을 준비하는 이들의 기대감을 보다 높여줄 시 몇 편을 아래에서 소개한다. 시인들도 사색의 여행을 떠나는 계절이 시작됐다.

 

이성복 시집.
이성복 시집.

▲ 푸른 산과 바다를 동시에 보며 이성복의 ‘남해 금산’을

경상남도 남해의 금산은 봄을 맞이한 산과 바다를 지척에서 동시에 즐길 수 있는 흥미로운 여행지다.

“원래는 신라의 원효(元曉)가 보광사(普光寺)라는 절을 세웠기에 보광산이라 했는데, 고려 후기 이성계(李成桂)가 이 산에서 100일 기도 끝에 조선왕조를 개국한 영험에 보답하는 뜻으로 산 전체를 비단으로 덮었다 해서 금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 ‘두산백과’의 설명.

한국문학사에 기록될 빼어난 모더니스트 이성복 시인은 남해 금산을 돌아보고는 이런 노래를 남겼다.

한 여자 돌 속에 묻혀 있었네
그 여자 사랑에 나도 돌 속에 들어갔네
어느 여름 비 많이 오고
그 여자 울면서 돌 속에서 떠나갔네
떠나가는 그 여자 해와 달이 끌어 주었네
남해 금산 푸른 하늘가에 나 혼자 있네
남해 금산 푸른 바닷물 속에 나 혼자 잠기네.

산에 얽힌 역사와는 무관하게 시인이 남해 금산에서 본 것은 ‘돌 속에 묻힌 한 여자’였다. 물론, 사람이 돌 안에 묻힐 수는 없는 일. 여기서 ‘여자’는 인간이 일생을 안고 살아갈 운명 또는, 그리움을 의미하는 것으로 읽힌다.

운명과 그리움에서 벗어나 해와 달의 이끌림 속에서 어디론가 사라진 그 ‘여자’는 어디로 간 것일까? 이성복은 푸른 남쪽 바닷가를 거닐며 그것을 고민했던 듯하다.

물론, 누구도 풀지 못한 운명과 그리움에 관한 삶의 수수께끼는 아직 풀리지 않았다. 그걸 남해 금산을 찾은 여행자가 된 당신이 풀어보면 어떨까.

 

곽재구 시집.
곽재구 시집.

▲ 진달래가 불 밝힌 곳에선 곽재구의 ‘분홍산’을

목련, 개나리와 함께 가장 먼저 봄을 알리는 꽃이 진달래다. 그 화사한 진분홍의 유혹은 천년 세월을 넘어 우리를 때마다 흔들어왔다. ‘봄의 전령사’라 불러도 좋을 진달래.

중년을 넘긴 이들에겐 ‘먹어도 좋은 꽃’으로 기억되는 진달래는 번철 위에서 구워지던 부침개를 화려하게 장식하기도 했다.

질박한 토속 언어로 한국 시의 한 산맥을 형성했다고 평가받는 곽재구는 저 멀리 분홍빛으로 가물거리는 진달래를 보며 다음과 같은 시를 썼다. 이 시가 만들어진 건 분명 3월이었을 터.

봄 구산리길 걸었다
아지랑이 한 마리
나비처럼 팔랑팔랑 날았다
봄콩 놓던 할머니 먼 산 보다가
새참으로 들고 나온 막걸리 한 사발 부르르 마셨다
진달래꽃이 피었는디
진달래꽃이 피었는디
아가 무신 잠이 이리도 깊으냐
십 년 넘은 바위잠이 어디 있느냐
아이고 다리 패던 허망한 숲 그늘 길
끈적하게 타오르던 저 먼
분홍산.

먼지 날리는 시골길을 달리다가 자동차의 핸들을 놓고 무작정 낯설고 조그만 시골마을에 내려 주변을 살펴보자. 곽재구가 노래한 공간이 바로 거기에 있으니까.

그렇게 한다면 누구라도 생물인 듯 흔들리며 꿈틀대는 ‘아지랑이’와 만날 수 있고, 주름 가득한 얼굴로 착하게 웃는 그 동네 ‘할머니’에게 막걸리 한잔 얻어 마실 수 있을 것이다.

시인이 시의 제목으로 삼은 ‘분홍산’은 비단 진달래의 색깔만을 의미하진 않는다. ‘분홍산’은 봄이 선물한 유토피아의 다른 이름이기도 할 것이기에. 봄에 떠나는 여행은 이상향(理想鄕)을 찾는 행위에 가깝다.

 

김명인 시집.
김명인 시집.

▲ 봄의 주인공을 만난다면 김명인의 ‘꽃들’을

누가 뭐래도 봄의 주인공은 ‘꽃들’이다. 꽃은 미움과 증오가 가득한 땅에도 화사하게 피어 사랑과 화해가 아름다운 단어임을 가르친다. 그렇기에 어떤 면에선 인간보다 낫다.

이상과 괴리하는 현실의 아픔을 독자들에게 들려주며 자신의 문학적 영역을 탄탄하게 구축해온 시인 김명인은 바로 이 봄의 주인공인 ‘꽃’을 사랑의 이름으로 노래하고 있다.

낮잠에서 깨니 머리맡에 꽃소식이 당도해 있다
만선에 실려 오는 꽃나무 한 시절들
그대가 약속을 지키려 근근하듯이
꽃은 제철의 두근거림으로 한 해를 갱신한다
상청 이불 덮고 누웠으니
어디 산비둘기 구구거리는 한낮
꽃 타래들, 다비에 든 듯 화염 사르는구나!
공손한 꽃아, 피고 지는 건
네 일이지만 나는 너를 빌려 쓰고 내일로 간다
연년세세로 물든 분홍 새 날개 펴니
거처 없이도 견디는 깃발처럼
혼곤한 신생의 새봄 안간힘으로 울뚝하다
오늘은 오늘 꽃, 수만 송이로 허무는 탑
버림받을 사랑이니 돌보라고
이 환, 나에게 흘려보내는 건 아니겠지?

누구라도 새로움과 희망을 꿈꾸는 ‘신생의 새봄’이 바로 오늘이다. 때로는 ‘다비에 든 화염’처럼 매혹적으로 일렁이고, 어느 때는 ‘버림받을 사랑’을 아프게 돌아보라고 우리를 가르치는 봄.

봄의 주인공 꽃들 속으로 떠난 여행에서 꿈과 사랑, 새로움과 희망의 은유를 찾아낼 수 있다면 독자들 또한 시 한 편 쓰지 못할 이유가 없을 듯하다.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