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민호 서울대 교수
방민호 서울대 교수

꿈을 꾸었다. 무슨 일인가로 나를 잡으려는 사람들에게 쫓겼고, 나중에 잡혔는지 그러지 않았는지 알 수 없다. 다만 꿈 한가운데 있던 일만 선연히 남았다.

어느 큰 파도가 치는 바다로 달려가 뛰어들었다. 밀려오는 파도는 어마어마하게 컸다. 나는 마치 서핑을 하는 사람처럼 그 파도 굽이쳐 감기는 안쪽으로 들어갔다. 마치 서핑을 하는 사람처럼. 파도는 한없이 크다 해도 좋은 정도였다. 내 키를 열 곱 스무 곱 넘도록 거대하게 솟아오른 파도 속, 그 아래로, 아래로 나는 끝 모르고 파도의 물기둥 벽을 타고 내려갔다.

파도는 검푸르다고도, 소랏빛이라고도 할 수 없이 신비로운 어둠에 물들어 있었고, 나는 태양빛을 푸른빛 셀로판지처럼 막아주는 거대한 물기둥 아래로, 아래로, 자꾸만, 빨려들 듯 내려가는 것이었다.

또 다른 내가, 그렇게 아득히 멀어져 가는 내가 마치 하나의 점처럼 작아졌다고 느낄 즈음에 꿈이 깼다.

아침이 이미 아주 늦도록 잠들어 있었다. 어제는 하루종일 이광수를 이야기하는 학술대회 자리에 있었고, 그저께는 수업을 하고 박사논문 발표하는 학생들과 밤 늦게까지 함께 있었다. 그 전에는 어땠더라? 잡지 ‘맥’을 교정을 보고 모자란 부분을 기웠다. 그 전에는 우정권 선배가 목월 시 유작들 발굴하는 일, 기자회견 자리에 있었고.

눈을 뜨면서, 오늘은 꼭 파주에 가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책들이 어떻게 되었을까?

대학원 학생들에게 다음 주에는 꼭 ‘노동해방문학’ 창간호부터 끝날 때까지 누락된 것 없는 열 몇 권을 다 갖다 보여주겠다고 했다. 벌써 몇 번을 찾아보았는데, 없다. 몇 년 전 학교 건물 4층을 리모델링 한다고 전부 비우라고 할 때, 어디로 갔을까? 파주였을까? 아니면 단체로 보관해 준다는 창고에 휩쓸려가 사라져 버린 걸까?

파주만 생각하면 가슴이 아려온다. 처음 책들을 갖다 둘 때는 주말에는, 2주일에 한 번, 아니, 한 달에 한 번이라도 가서 옮겨놓은 책들을 돌볼 작정이었다. 미련스러운 것이 사람, 욕심껏 사들이기는 했는데, 둘 곳 없을 것은 내다보지 못했다.

되도록 햇빛 받지 않도록 하려 했지만 벌써 몇 년째 아직도 유리창에 햇빛 차단용 셀로판 지를 붙이지 못했다. 몇 개 미닫이 문틈으로 들어오는 바람도 먼지에도 속수무책인 책들. 들이는 것만 일이 아니요, 책도 식물을 기르듯, 화초를 기르듯 물 주고 돌봐야 하는 것을, 몰라도 너무 모른 무지의 나날들이었다.

어디로 갔을까? ‘노동해방문학’은 무크지 황토빛 ‘실천문학’도 낙질은 있지만 분명 잘 두었었는데….

그런데, 있다.

그렇게 찾아도 안 보이던 책들이 오늘 책장 맨 하단 구석에 그대로 꽂혀 있다. 귀신이 곡할 노릇이 바로 이런 일을 두고 말함인가 한다.

내친 김에 어지럽게 꽂혀 있는 아이들을 이제는 다시 마음 잡고 돌보기로 한다. 앞에서 물을 준다 했지만, 이 아이들은 습기도, 햇빛도, 추위도, 먼지도, 몹시 힘겨워 하는 애들이다.

나의 삶의 증명 같은 아이들. 나와 같이 깊은 바닷속 같은 심연을 향해 함께 가는 아이들. 이제 다시 물을 주고 돌봐 주기로 한다. 더 알뜰하게 가꿔 보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