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종 경북대 교수
김규종 경북대 교수

20대 창창한 시절엔 여름이 제일 좋았다. 청년 시절 누구나 그렇듯 관념론에 빠져 있던 터라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에 있는 ‘부패는 만상의 본질’이란 구절에 마음을 뺏긴 까닭이다. 열렬한 속도로 생장하는 것도 있지만, 그만큼의 빠르기로 부패와 소멸이 진행되는 계절이 여름인 까닭이다. 양극단의 두 얼굴의 계절, 여름을 찬양하라!

중년에 접어들자 겨울이 그렇게 좋을 수가 없다. 한여름의 눅진한 습기와 극복 불가능한 열기, 그것들이 자아내는 무기력과 타락의 분위기가 현저히 역겨워진 것이다. 그러나 겨울은 어떤가?! 피부를 뚫고 스며드는 한기(寒氣)가 내장을 서늘하게 인도하고, 이마를 때리는 설한풍은 영혼을 맑게 정화한다. 공부 좋아하는 학자들이여, 겨울을 찬미하라!

다시 세월이 흐르고 귀밑머리에 서리가 내리기 시작하자 사정이 달라진다. 누가 뭐래도 봄을 기다리게 된 터다. 10년 전부터 촌으로 이주한 후에는 봄을 그리워하는 마음이 부쩍 깊어진다. 10월 말 11월 초에 누렇게 변색한 잔디와 곳곳에 나부끼는 낙엽이 전하는 처연함과 쓸쓸함을 견디기 어려운 것이다. 초로의 인간이여, 봄을 목청껏 노래하라!

지난 1월 초에 마주한 후배가 네덜란드 출신 알뿌리 서른 알을 넘겨준다. 봉투에는 튤립, 히아신스, 크로커스, 무스카리의 네 가지 이름이 적혀 있다. 매서운 칼바람 부는 시절에 땅을 파고 알뿌리 심는 일은 차일피일 미뤄진다. 그러다가 후배 전화를 받고 심는 작업에 착수한다. 물까지 듬뿍 준다. 그 이튿날부터 기온이 급강하한다.

그때부터 2월 하순까지 달포 가까이 속앓이를 했다. 미숙한 주인 만나 유럽에서 건너온 네 종류의 어여쁜 구근(球根)이 얼어 죽은 것은 아닐까, 하는 마음에 몹시 괴로웠다. 그러던 차에 녀석들이 하나둘씩 얼굴을 내밀기 시작하는 게다. ‘청도 인문학’을 시작한 2월 20일 무렵 일곱 개의 초록 초록한 얼굴이 나를 향해 웃는다.

날이면 날마다 녀석들의 얼굴을 확인하고 수효를 헤아리는 게 일상이 된다. 그러다가 마침내 환희의 날은 오고야 말았다. 3월 14일 녀석들 전방에 자리한 수선화가 노란 꽃망울을 화사하게 터뜨리더니, 히아신스와 크로커스가 뒤를 따라 하늘로 몸을 연 것이다. 눅눅하던 마당의 분위기가 일신(一新)한다. 몇 송이 꽃의 개화가 전해주는 생동감과 환희라니!

한겨울 추위를 겪지 않으면, 줄기는 자라나지만, 꽃은 피어나지 않는다 한다. 뉴질랜드에 사는 교민이 개나리가 그리워 옮겨 심었으나 결국 꽃은 보지 못했다 전한다. 그곳의 겨울이 우리의 겨울보다 온화한 까닭에 몸체는 생겨나 자라났지만, 꽃은 피우지 못했다는 얘길 듣고 생각나는 게 적잖았다. 가혹한 시련이 사람도 꽃도 만드는 모양이다.

이번에 피어난 크로커스와 히아신스를 보면서 봄이 깊어지면, 튤립과 무스카리도 여기저기서 환하게 피어나리라 생각하니 마음이 환해진다. 만상을 보는 계절 ‘봄’을 화려하고 은성(殷盛)한 축제로 만들어주는 봄꽃을 보면서 저런 삶을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절로 드는 시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