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추진하는 수소환원제철 사업에 정부가 힘을 보태기로 함에 따라 포스코의 차세대 기술개발이 획기적 전기를 맞게 됐다.

11일 산업통상자원부는 2024년 전략기획투자협의회를 열고 포스코가 추진하는 수소환원제철 실증기술 개발을 신규예비타당성조사 신청대상으로 확정하고 정부 재정(R&D)을 투입 하기로 했다. 정부의 재정지원 규모는 밝혀지지 않으나 상당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수소환원제철 기술이 국가안보 차원에서의 전략적 중요성이 있고 국민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도 크다고 판단한 것이다. 현재 포스코가 추진 중인 수소환원제철 기술은 제철생산 과정에 사용되는 석탄 대신에 수소를 쓰는 기술이다. 용광로 없이 환원로와 전기로로 환원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산화탄소가 아닌 물이 배출되기 때문에 획기적 탄소 감축이 가능하다.

정부가 수소환원제철 기술개발을 지원 하기로 한 배경에는 한국의 2050년 산업 부문 탄소배출 감축목표와 직접적 연관이 있다. 우리나라는 2050년까지 2018년 대비 2억1천만t 탄소 배출을 줄여야 한다. 이를 위해선 수소환원제철 기술의 상용화가 필요하다. 기술이 상용화되면 목표치의 40%가 감축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수소환원제철 기술개발에 들어갈 비용이 만만치 않다. 포스코는 하이렉스 설비 도입 등 탄소중립을 위한 기술개발에 40조원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천문학 비용을 감당하기 위해선 정부의 지원은 필수다.

게다가 독일과 일본, EU 등 경쟁국도 수소환원제철 기술개발에 투자를 벌이고 있어 우리나라도 차세대 기술개발에 속도를 내야 할 형편이다. 정부가 포스코의 기술개발을 지원 하기로 한 것은 잘한 일이다. 포스코뿐 아니라 차세대 기술개발이 다른 영역으로 확대 재생산되는 기회도 되기 때문이다.

포스코는 정부 기술개발 지원을 계기로 차세대기술 개발의 속도를 높이는 등 성공적 마무리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수소전환제철 기술을 활용한 설비 준비에는 환경문제 등 난관도 적지 않다. 모든 난관을 극복할 포스코의 더 많은 분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