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정구 논설위원
우정구 논설위원

문익점에 의해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온 목화씨가 면직물로 생산됐던 곳은 경북 의성이다. 문익점의 처가인 의성에서 재배되던 목화는 문익점의 손자 문래가 그의 이름을 딴 물레를 만들어 실을 뽑았다고 전한다.

이런 유래와 연관지어 보면 대구에서 수공업 위주의 섬유공업이 발달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대구는 내륙도시로 노동력이 풍부하고 용수와 천연섬유 조달이 용이해 우리나라 섬유업의 태동지로 꼽힌다.

일제 강점기 수공업 위주의 섬유공업이 대구에서 시작됐고 달성소재 동양염직소는 일제가 세운 조선방직보다 2년 앞서 설립됐다. 이곳은 한국 섬유공업이 대구에서 최초 시작한 사례로 소개되기도 한다.

해방직후 한 조사에 의하면 한국 섬유산업에서 경북의 비중이 24%였다. 경북도내에 142개의 섬유업체가 있고 그 중 67%인 95개 업체가 대구에 있었다 한다.

대구 섬유업이 비약적 발전을 한 것은 1960년 들어서다. 박정희 정권의 수출전략산업의 하나로 섬유업이 포함되면서부터다. 1967년 1억 달러의 수출실적을 기록한 후 1987년에는 단일업종으로서는 최초로 섬유가 100억 달러를 달성한다. 이탈리아, 서독과 함께 세계 섬유수출 3대 대국으로 올라선 것이다. 대구경북이 우리나라 경제 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한 섬유산업의 본고장이라는 것은 자랑스런 일이다.

13일부터 15일까지 대구 엑스코에서 대구국제섬유박람회(PID)가 개최된다. 국내 최대 섬유비즈니스 박람회로 국내외 322개 기업이 참여한다. 첨단업종에 밀려 지역 주력산업에서 한발 물러난 감은 있으나 섬유만큼 영원한 산업도 없다. 이번 박람회가 대구섬유산업의 화려한 명성을 되찾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