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약간 움츠렸던 봄이 다시 기지개를 켜며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생동의 봄날이 성큼 다가온 듯 양지 바른 언덕엔 새파란 풀잎들이 바람에 하느작거리고, 남도에선 홍매, 청매의 꽃향기가 코 끝을 간지럽히는 듯하다. 산수유 꽃망울이 샛노랗게 피어나며 오는 봄을 반기고, 물오른 가지마다 봉긋한 움과 싹이 도드라져 새봄의 향연에 망울을 터트릴 태세다. 무덤덤하던 무채색의 대지에 노랑이며 빨강, 초록색의 봄빛이 조금씩 아른거리며 이른바 계절의 붓질이 시작되고 있다.

산과 들의 채색으로 오는 봄과 함께 학교에서는 새 학기가 시작됐다.

이 맘 때가 되면 빳빳한 새 책을 받아 들고 책장을 넘기면서 책 속에서 배어나는 잉크 가득한 냄새를 맡으며 마냥 좋아하던 시절이 있었다.

새롭게 배울 책의 내용에 대한 궁금증과 한 학년 더 올라간다는 희열감(?)에 사로잡혀 맡는 특유의 책냄새는 꽃내음보다 향기롭고 진했던 것 같다. 한 살 더 먹으며 새로운 책으로 공부하고 형이나 누님들처럼 어서 빨리 자라 나가기를 손꼽아 기다리던 동화 같은 초등시절이었다고나 할까?

“입김으로 호호호/유리창을 흐려놓고/썼다가는 지우고/또 써 보는 글자들/봄 꽃 나비//봄아 봄아 오너라/어서 오너라/봄이 되면 나는 나는/새로 사학년/내 마음엔 벌써/봄이 와 있다//봄을 찾아 산으로 들로 나가자/노랑 봄을 찾아서 산으로 가자/파랑 봄을 찾아서 들로 나가자” -양해광의 수필 중 작자 미상의 동시 ‘봄 꽃 나비’ 전문

벌써 50년도 더 지난 듯하지만, 당시 초등학교 3학년 말 무렵이었던가?

국어시간 교과서의 맨 마지막 단원에 실린 동시(童詩)가 요즘 같은 봄날이면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됨은 어인 일일까?

큰 고갯길를 넘나들며 10여리의 등, 하굣길에 뻔질나게 외우고 외치며 즐겨 읊었던지 요즘도 술술 나올 정도다. 외운 것에 지나지 않고 큰 네 모 칸이 그려진 공책에 연필로 삐뚤삐뚤 즐겨 쓰곤 하면서 밤낮없이 ‘봄 꽃 나비’에 빠져들었던 것 같다.

그러고보니 그 당시엔 필자도 모르게 어린 마음에 무엇인가에 이끌려 외우고 종이에 쓰는 걸 무척이나 좋아했었나 보다. 초등학교 4학년 1학기 국어책에 처음으로 나오는 시조 ‘오 백년 도읍지를 필마로 돌아드니….’를 비롯 교과서에 실린 시조를 십리 길 학교에 오가는 길에 거의 다 외우고는 또래들과 시조 외우기를 재미삼아 했는가 하면, 다보탑 그림이 초록색 판화로 찍혀진 듯한 ‘오늘의 일기’ 일기장을 학교 내 문방구에서 사서 거의 매일 일기를 쓰거나 그날 외운 시조를 적을 정도였으니, 과연 딱히 좋아하는 것에 대한 애착과 즐김이 그때부터 싹튼 것이 아니었을까 싶다.

그러한 습성은 세월이 한참이나 흘러 강산이 몇 번씩 바뀐 현재까지도 줄곧 이어지는 듯하니 막연하게 좋아하던 것에서 알게 모르게 마음의 움과 싹으로 자리잡은 것 같다. 스프링(Spring)처럼 약동하는 봄날, 자신의 즐길 거리로 희망찬 새봄을 맞이하자.